입체녹화에 의한 환경공생
라펜트l기사입력2006-11-01
인류가 만들어 낸 도시 및 도시근교 공간에는 녹화가 가능한 그리고 녹화가 필요한 구조물이 수없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구조물은 환경공생을 지향하는 관점에서 평면(옥상), 혹은 입면이라는 독립된 공간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고, 이들 공간을 녹화하는 것이 입체녹화이다.
즉 입체녹화는 도시인공지반을 대표하는 옥상녹화와 벽면녹화는 물론 경사지붕 고가도로의 기둥, 난간, 그밖의 방음벽, 지하철환기구와 같은 도시구조물을 녹화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일본에서 새롭게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에 (주)한설그린 부설 조경생태디자인연구소는 오랜 세월 옥상녹화와 벽면녹화, 입면녹화에 몰두해 온 경험을 배경으로 “입체녹화”라는 새로운 용어와 개념을 제안한 <입체녹화에 의한 환경공생>을 국내의 인공지반 녹화 관계자와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배우려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입체녹화의 개념을 이해시키고 선진화된 기술을 보급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번역하게 되었다.
책의 구성은 제1장에서 입체녹화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2장, 제3장에서는 열섬현상의 원흉이 되고 있는 도시구조물의 실태와 그에 대한 대책으로서의 녹화 의의 및 기능과 역할을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입체녹화의 대상을 대형건축물, 단독주택, 토목구조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각각의 녹화대상에 대해 어떤 식재가 가능한지에 대해 해설하고 있다. 제5장은 덩굴식물과 포복성 식물 및 에스페리어에 이용되고 있는 식물을 중심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연구성과와 이용 현장에서의 경험에 기초한 해설을 시도하고 있다. 제6장에서는 구체적인 녹화시공을 토대로한 계획·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의 실제와 시공 후의 경험으로부터 계획·설계에 반영할 만한 요점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제7장에서는 입체녹화의 현황에 대해 저명한 사례와 실증적인 조사·연구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제8장에서는 아이치 지구박람회 바이오렁(Bio-Lung)에서의 시행 등을 소개하고, 일본에 있어 입체녹화의 미래를 찾는 논고가 담겨져 있다.
옮긴이: (주)한설그린
펴낸곳: 보문당(02-704-7025)
발행일: 2006년 10월
페이지: 455쪽
정가: 32,000원
즉 입체녹화는 도시인공지반을 대표하는 옥상녹화와 벽면녹화는 물론 경사지붕 고가도로의 기둥, 난간, 그밖의 방음벽, 지하철환기구와 같은 도시구조물을 녹화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일본에서 새롭게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에 (주)한설그린 부설 조경생태디자인연구소는 오랜 세월 옥상녹화와 벽면녹화, 입면녹화에 몰두해 온 경험을 배경으로 “입체녹화”라는 새로운 용어와 개념을 제안한 <입체녹화에 의한 환경공생>을 국내의 인공지반 녹화 관계자와 이 분야에 관심을 갖고 배우려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입체녹화의 개념을 이해시키고 선진화된 기술을 보급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번역하게 되었다.
책의 구성은 제1장에서 입체녹화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2장, 제3장에서는 열섬현상의 원흉이 되고 있는 도시구조물의 실태와 그에 대한 대책으로서의 녹화 의의 및 기능과 역할을 구체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입체녹화의 대상을 대형건축물, 단독주택, 토목구조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각각의 녹화대상에 대해 어떤 식재가 가능한지에 대해 해설하고 있다. 제5장은 덩굴식물과 포복성 식물 및 에스페리어에 이용되고 있는 식물을 중심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연구성과와 이용 현장에서의 경험에 기초한 해설을 시도하고 있다. 제6장에서는 구체적인 녹화시공을 토대로한 계획·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의 실제와 시공 후의 경험으로부터 계획·설계에 반영할 만한 요점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제7장에서는 입체녹화의 현황에 대해 저명한 사례와 실증적인 조사·연구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제8장에서는 아이치 지구박람회 바이오렁(Bio-Lung)에서의 시행 등을 소개하고, 일본에 있어 입체녹화의 미래를 찾는 논고가 담겨져 있다.
옮긴이: (주)한설그린
펴낸곳: 보문당(02-704-7025)
발행일: 2006년 10월
페이지: 455쪽
정가: 32,000원
관련키워드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