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재생 마을만들기
라펜트l기사입력2008-01-01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급격한 도시화로 도시로 몰려드는 수많은 사람들을 위해 주거공간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둔 나머지, 도심의 쾌적성 저하, 지방중소도시의 쇠퇴, 역사·문화 자원의 상실, 교통난과 대기 및 수질 오염, 열섬화 현상 등과 같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기존의 도시재정비사업은 물리·환경적 측면의 정비위주로 사회·문화·산업·경제적 측면의 정비가 뒷받침 되지 못한채 추진되어 최근에는 재개발된 지역이 재슬럼화되는 현상을 겪어왔다.
이 책은 우리나라보다 도시화가 빨랐던 일본에서 주거단지 및 커뮤니티 재생에 직접 참여했던 전문가들이 각자의 경험을 토대로 단지재생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정리한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비슷한 개발여건과 제도적 틀을 가지고 있는 일본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다각도로 도모한 사례를 정리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단지 재생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이 책의 제1장에서는 주민의 협동과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도시재생의 다양한 모습을 소개하고, 인구감소에 대응하여 주택재고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제2장에서는 전면철거 방식의 재건축이 환경파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언급하며, 환경친화적인 단지재생수법과 에너지 절약적인 대안을 통해 환경과 사람에게 모두 좋은 도시재생은 어떤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이 밖에도 지역특색을 고려한 커뮤니티방향, 주민들을 계속 살 수 있도록 만드는 방안 등 보다 넓은 의미의 도시재생과 커뮤니티를 말하고 있다. 이 책은 단지 물리적인 방법에 의한 단지재생이 아닌 환경친화적이며 주민참여적인 방법을 우리에게 알려주며 많은 시사점을 남겨주고 있다.
지은이 _ NPO 단지재생 연구회 편저|공역 _ 구자훈, 하우드 도시재생연구소
펴낸곳 _ 기문당 02-2295-6171|발행일 _ 2007.11|정가_18,000원
이 책은 우리나라보다 도시화가 빨랐던 일본에서 주거단지 및 커뮤니티 재생에 직접 참여했던 전문가들이 각자의 경험을 토대로 단지재생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정리한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비슷한 개발여건과 제도적 틀을 가지고 있는 일본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다각도로 도모한 사례를 정리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단지 재생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이 책의 제1장에서는 주민의 협동과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도시재생의 다양한 모습을 소개하고, 인구감소에 대응하여 주택재고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제2장에서는 전면철거 방식의 재건축이 환경파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언급하며, 환경친화적인 단지재생수법과 에너지 절약적인 대안을 통해 환경과 사람에게 모두 좋은 도시재생은 어떤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이 밖에도 지역특색을 고려한 커뮤니티방향, 주민들을 계속 살 수 있도록 만드는 방안 등 보다 넓은 의미의 도시재생과 커뮤니티를 말하고 있다. 이 책은 단지 물리적인 방법에 의한 단지재생이 아닌 환경친화적이며 주민참여적인 방법을 우리에게 알려주며 많은 시사점을 남겨주고 있다.
지은이 _ NPO 단지재생 연구회 편저|공역 _ 구자훈, 하우드 도시재생연구소
펴낸곳 _ 기문당 02-2295-6171|발행일 _ 2007.11|정가_18,000원
관련키워드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