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도시경관 포럼 개최
라펜트l기사입력2002-08-01
‘도시경관에 대한 지역을 넘어선 학문적 교류 시도’
지난 7월 12일 서울시립대학교 21세기관 소회의실에서는 제1회 도시경관 포럼이 개최되었다. 도시경관 포럼(가칭)은 도시경관에 대한 연구가 전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서로간의 교류가 부족했던 문제점을 극복하고 지역의 차원을 넘어 학문적인 교류를 활성화하자는 취지에서 첫모임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서울·경기, 충청, 호남, 영남, 강원지역에서 30여명의 교수, 연구원 등이 참여하여 적지 않은 관심을 반영하였다. 김기호 교수(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 조경학부 도시계획 전공)의 「서울시 주요 산 주변 경관관리계획」과 안재락 교수(경산대학교 도시공학 전공)의 「진주시 도시경관 기본계획」을 주제로 한 발표 및 토론으로 시작되었는데, 서울시 주요산 주변 경관관리계획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로 연구기간 중에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생각을 미리 들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고, 진주시 도시경관 기본계획에 대한 발표 때는 발표내용과 다른 의견이 제시되기도 하여 모임이 활성화되면 교류의 목적에 맞는 도시경관 연구 발전에 중요한 몫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제발표 및 토론시간이 끝나고 운영회의에서는 도시경관 포럼의 앞으로의 운영방안 및 차기 발표자 선정에 대한 논의가 김한배 교수(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이규목 교수(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는 이 자리에서 건축 도시 조경이 헤게모니 싸움이 아닌 서로의 협조를 통해 동료의식을 갖고 이 분야를 밝혀나가길 바란다면서 세계 각국에서 배운 학문이라 생각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며 학문의 횡적인 교류를 가져가자고 했다. 참석자 대부분은 모임의 취지에 긍정하는 분위기였으며, 1년에 4회의 정기모임과 모임이 요구되는 연구 주제가 있을 때마다 수시로 모임을 갖기로 결정하고 식사장소로 이동하여 자유로운 이야기를 나누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지역별 도시경관 보고서가 발간되기 시작했다. 앞으로 도시경관 포럼을 통해 전국각지에서 도시기반의 행정 정책이 포괄적이고 산발적으로 입안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일조하며, 서로의 분야의 차이점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학문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지난 7월 12일 서울시립대학교 21세기관 소회의실에서는 제1회 도시경관 포럼이 개최되었다. 도시경관 포럼(가칭)은 도시경관에 대한 연구가 전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서로간의 교류가 부족했던 문제점을 극복하고 지역의 차원을 넘어 학문적인 교류를 활성화하자는 취지에서 첫모임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서울·경기, 충청, 호남, 영남, 강원지역에서 30여명의 교수, 연구원 등이 참여하여 적지 않은 관심을 반영하였다. 김기호 교수(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 조경학부 도시계획 전공)의 「서울시 주요 산 주변 경관관리계획」과 안재락 교수(경산대학교 도시공학 전공)의 「진주시 도시경관 기본계획」을 주제로 한 발표 및 토론으로 시작되었는데, 서울시 주요산 주변 경관관리계획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로 연구기간 중에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생각을 미리 들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고, 진주시 도시경관 기본계획에 대한 발표 때는 발표내용과 다른 의견이 제시되기도 하여 모임이 활성화되면 교류의 목적에 맞는 도시경관 연구 발전에 중요한 몫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제발표 및 토론시간이 끝나고 운영회의에서는 도시경관 포럼의 앞으로의 운영방안 및 차기 발표자 선정에 대한 논의가 김한배 교수(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이규목 교수(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는 이 자리에서 건축 도시 조경이 헤게모니 싸움이 아닌 서로의 협조를 통해 동료의식을 갖고 이 분야를 밝혀나가길 바란다면서 세계 각국에서 배운 학문이라 생각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며 학문의 횡적인 교류를 가져가자고 했다. 참석자 대부분은 모임의 취지에 긍정하는 분위기였으며, 1년에 4회의 정기모임과 모임이 요구되는 연구 주제가 있을 때마다 수시로 모임을 갖기로 결정하고 식사장소로 이동하여 자유로운 이야기를 나누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지역별 도시경관 보고서가 발간되기 시작했다. 앞으로 도시경관 포럼을 통해 전국각지에서 도시기반의 행정 정책이 포괄적이고 산발적으로 입안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일조하며, 서로의 분야의 차이점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학문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관련키워드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