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도시녹화, ‘대중’이 핵심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2017년 정기총회 및 기술세미나’ 개최라펜트l기사입력2017-02-24

(사)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회장 김현수)는 ‘2017년 정기총회 및 기술세미나’를 23일(목) DA그룹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김현수 회장은 “도시는 열섬과 홍수 등 환경문제부터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를 ‘도시녹화’로 해결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공공사업 예산을 확보하고 정책을 제안하기 위해 마련했다”며 기술세미나 취지를 설명했다. 협회는 ‘전략적 도시녹화’라는 주제의 세미나를 4월과 6월까지 이어갈 계획이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도시녹화를 정책으로 반영하기 위한 전략이 화두였다. 그 핵심에는 ‘시민(대중)’이 있었다.
이재석 지피가든 대표는 “정책을 만드는데 있어 전문가보다는 시민단체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대중의 공감대가 정책을 만든다는 것이다. 전문가는 이를 위한 기술 등을 지원해야 하며, 시민단체를 설득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형주 환경과조경 기자는 “대중이 도시녹화를 소비하도록 욕망을 건드려야 한다”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쇼핑공간과의 연계, 정원박람회를 마을 단위로 불러들여 녹색복지 취약지점을 개선하는 데 활용, 스타 공간 조성, 품질개선을 위한 소비자의 신뢰향상 등을 들었다.
하재호 서울시 조경과 팀장은 2010년 이후 침체기를 겪고 있는 서울시 재정사업의 원인을 시민의 니즈에서 찾았다. “수요자가 원하는 시설과 기능을 옥상녹화에 담아내야 한다”는 것. 이 일환으로 2013년부터 추진해온 옥상녹화에 텃밭을 도입, 시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하재호 팀장은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에코스쿨 조성사업’ 등 다양한 분야 개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인호 신구대 교수는 “도시녹화를 위한 노력이 도시의 ‘회복탄력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도시녹화로 인한 건강, 복지, 사회문제 등 도시의 다양한 이슈 해결에 연구도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수 (사)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회장

이재석 지피가든 대표, 이형주 환경과조경 기자, 하재호 서울시 조경과 팀장, 김인호 신구대 교수
도시녹화의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내용도 논의됐다.
김태한 상명대 교수는 제4차산업혁명의 도래와 관련해 “생태환경융합 IoT 기술로 도시녹화가 고도화되고 있으며 사전성능예측을 통한 생태시스템 기능 정량화, 생태시스템의 기존 SOC 대체 가능성이 증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례로 SOC 대체 관점에서 ‘전략적 도시녹화’를 위한 정책 경향을 보이는데, 서울시 저영향개발 사전협의제도, 환경부 물순환 선도도시 등은 “수순환 개선 등 객관적 기능 제고를 통한 기존 SOC 대체 유발 정책”이라고 말했다.
김태한 교수는 이와 관련한 새로운 기술로 공기오염 부문의 바이오필터와 수순환 부문의 IoT 연계 생태 시스템의 해외사례를 소개했다.
김정곤 LH공사 박사 또한 도시열섬 등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폭염 억제 도시디자인 △옥상녹화 △알베도를 고려한 건축재료 △벽면녹화 △LID △홍수예방 도시기반시설 등을 들었다.
김연미 공존연구소 박사는 “인공지반 외에도 잠재 공간을 적극 개발해야 하며, 종합적 솔루션을 위해 다양한 전문분야와의 협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태한 상명대 교수, 김정곤 LH공사 박사, 김연미 공존연구소 박사

한편 기술세미나 이후 정기총회가 개최됐다.
협회는 올해 △기술세미나 △제19회 인공지반녹화대상 △기술산업위원회 개최 △현장워크숍 △홈페이지 개편 등의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특히 협회는 지난해 서울시 푸른도시국과의 간담회를 통해 서울시의 예산을 지원받을 수 있는 확실한 사업을 만들기 위해 ‘인공지반녹화 공공예산 확보 지원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특별위원회는 신기술이나 특허 관련 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는 조직적 시스템의 필표성이 대두되어 개설됐다. 위원장으로는 이재석 지피가든 대표가 추대됐다.
김현수 회장은 “여러 번에 걸친 기술세미나를 통해 나온 의견들을 모아 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제 공공사업 발주, 정책 등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 글·사진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관련키워드l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도시녹화, 전략, 대중, 시민, 인공지반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