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자전거도로 9월 첫삽…자전거 출퇴근길 열린다

내년 봄 완공 예정…청계광장~고산자교 5.94km 구간 대상
라펜트l기사입력2020-09-01


기존 자전거전용차로 개선 _ 조경수 존치 / 서울시 제공

내년 봄이면 청계천의 시작점인 청계광장에서 동대문구 고산자교(2호선 용두역 인근)까지 막힘없이 달릴 수 있는 왕복 11.88km 길이 자전거길이 열린다.


청계천로 자전거길이 조성되면 도심에서 중랑천, 한강에 이르는 동서축 간선망이 완성된다. 서울시는 향후 성북천, 정릉천 자전거도로와의 연결을 통해 자전거도로 간선망을 동북권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9월7일(월) ‘청계천로 자전거도로’ 조성 첫 삽을 뜬다고 밝혔다. '21년 4월까지 완료해 정식 개통한다는 목표다.


청계광장~고산자교에 이르는 청계천로 직선구간 5.94km가 대상이다. 청계천을 사이에 둔 양방향(남‧북측)에 총 11.88km 길이로 한 바퀴 도는 도심 순환형 자전거전용도로(CRT)다.



청계천로 CRT 기본구상도 / 서울시 제공

청계천로 자전거도로는 서울 전역 동서남북을 막힘없이 연결하는 23.3km의 자전거대동맥을 구축하는 「CRT 핵심 네트워크 추진계획」('20.6.)의 핵심구간 중 하나다.
서울시는 올해를 ‘사람 중심의 자전거 혁명’의 원년으로 삼아 현재 940km 규모의 자전거도로를 2030년까지 총 1,330km까지 단계적으로 완성해 서울을 ‘자전거 1시간 생활권’으로 만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특히 기존 차도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차도와 완전히 분리되는 자전거만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자전거 이용자가 안전하게 청계천로를 이동하고, 청계천 주변 상인들은 생업을 위한 기존 조업공간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이를 위해 각 구간별 도로여건과 상황을 고려해 맞춤형 전략을 세웠다. 예컨대, 차도 바로 옆에서 불안한 더부살이 중인 기존 ‘자전거 전용차로’(북측 청계5가~고산자교 등)는 보도와 같은 높이로 올려 차도와 분리한다.



기존 자전거전용차로 개선 _ 조경수 이식예정 / 서울시 제공


사실상 자전거길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던 ‘자전거우선도로’ 구간(남측 청계2가~청계7가 등)은 차도의 폭은 유지한 채, 안전통행로를 가로막고 있는 가로수를 옮겨 심는 등의 방식을 통해 공간을 확보하여 ‘자전거 전용도로’를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차량 이동이 드문 야간 시간대(22시~익일 6시)에 공사를 진행하고, 구간별 상황과 추석 등 시기적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간별 공사시기를 쪼개는 방식으로 공사에 따른 시민불편과 교통정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청계천로 자전거도로’가 조성되면 동쪽으로는 청계천과 중랑천을 따라 한강 뿐 아니라 동남권 및 동북권 지역까지, 서쪽으로는 광화문을 중심으로 세종대로, 한강대로를 따라 한강까지 연계되는 자전거 간선도로망이 완성된다.


이는 자전거 이용 수요가 높은 한강 자전거도로뿐 아니라 서울숲, 뚝섬유원지, 올림픽 공원 등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도심 동서축 네트워크 구상도  / 서울시 제공

_ 강진솔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lafent@naver.com
관련키워드l자전거도로, 청계천, 청계천로 자전거도로, 자전거 출퇴근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 사진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