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지대 수종, CO2 흡수능력 탁월
산림청 고산지대 산림 이산화탄소 흡수량 분석해발 1,000m 이상 고산지대의 산림이 탁월한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는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도출하기 위해 2001년 운두령(해발 1,089m)에 생장모니터링조사구를 설치했다. 2002년 첫 조사 이후 10년 동안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이 결과로 고산지대 산림에 대한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운두령 산림수종이 연간 흡수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량은 ha당 ▲신갈나무 12.6이산화탄소 톤(58년 생) ▲낙엽송 12.1이산화탄소 톤(37년 생) ▲잣나무 11.3이산화탄소 톤(34년 생) ▲소나무 9.9이산화탄소 톤(58년 생) ▲자작나무 5.8이산화탄소 톤(35년 생)이다.
이는 우리나라 주요 산림수종의 표준 이산화탄소흡수량(국립산림과학원, 2012)보다 높은 수치다.
국립산림과학원 강진택 기후변화연구센터 박사는 “이번 조사 결과는 고산지대 산림의 탄소흡수원 관리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글 _ 나창호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ch_1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