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mart City 모델’로 스마트 시티 해외시장 공략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확대 방안’ 발표
한국건설신문l기사입력2016-07-17

▲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 결과 합동브리핑. 왼쪽부터 강호인 국토부 장관, 정진엽 복지부 장관, 최양희 미래부 장관, 유일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형환 산업부 장관, 이동필 농림부 장관,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 처장.국토부는 스마트 도시 해외수출 전략과 뉴스테이 민간투자 촉진방안 등을 발표했다. <사진_뉴시스>

스마트시티가 수출전략 산업으로 육성된다. 우리만의 노하우와 기술을 적용한 ‘K-Smart City’ 모델로 ‘스마트 시티’ 해외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것. 국토부는 7일 대통령 주재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한국형 스마트 시티 해외진출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한국형 스마트 시티 수출공략 모델

정부는 도시개발 노하우와 스마트그리드, ITS, 해수담수화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한 ‘K-Smart City’ 모델을 구축하고, 국가별 맞춤형 진출 전략 수립과 외교·금융·홍보 등 범부처 차원의 지원책 등을 마련했다.

K-Smart City는 특징과 적용국가 등에 따라 ▷스마트 신도시 모델 ▷에너지 신산업 모델 ▷친환경 물산업 모델 ▷스마트 교통 모델 ▷ICT 솔루션 모델 등으로 구분한다.

◇스마트 신도시 모델= 쿠웨이트 순방외교 이후 수도 인근 2만5천호 규모의 신도시(대지조성 4조4천억원) 공동개발을 요청받아 마스터플랜 수립에 참여할 예정이다. 정부간(G2G) 협력기반하에 민간과 공공이 동반 진출, 도시기획부터 건설, 관리ㆍ운영 등 도시개발 전 과정에 참여한다.

◇에너지 신산업 모델= 페루 동부 아마존 습지지역에 마이크로그리드 적용과 중국 아룽치 ‘농촌환경 종합정비 생태건설사업’에 홍천 모델을 접목할 계획이다. 신재생, ESS, 전기차 충전소 등을 패키지화해 GCF 등과 연계ㆍ지원한다.

◇친환경 물산업 모델= 칠레 현지업체와 유수율 제고 시범사업 추진 중이며, UAE와 해수담수화 공동연구를 진행하면서 현지 실증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해수담수화, 스마트 물관리 등 기술 중심으로 통합 패키지 제공할 계획이다.

◇스마트 교통 모델= 콜럼비아 메데진 등에 ITS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중이다. 교통카드, 버스정보시스템(BIS) 등 기술우위 상품을 집중 수출할 예정이다.

◇ICT 솔루션 모델= 중국 하북성 당산시에 100억원 규모로 IoT 기반 도시관제시스템 공급할 예정이다. 스마트 시티 기반시설과 스마트 솔루션을 패키지화한다.


■‘K-Smart City’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국토부는 다각적 수주지원을 통한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내놨다. 

전문인력 보강, 해외사업 발굴에 대한 금융 지원, 공기업 해외진출 및 투자 개발사업 활성화 등을 통해 해외 사업 기획역량을 제고한다. 아울러 국토부 주관·기재부·외교부, 수은·KOICA·인프라 공기업 등이 참여하는 해외 도시·SOC 개발 협의체 등을 통해 사업발굴 제도와 금융지원 간 연계도 강화한다.

정부간(G2G) 협력과 함께 UN-Habitat, WB(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와 공조할 계획이다. GICC, MDB(다자개발은행) 협력포럼 등을 통해 우리기업의 사업참여 기회를 확보하고, 해외 스마트 시티 사업의 정책펀드로 코리아해외인프라펀드(KOIF)와 해외건설특화펀드(Global Infra Fund)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국내 도시개발 관련 제도도 수출하기로 했다. 체계정비가 시급한 아시아국가 등에 ‘토지관리·도시계획법’ 제정을 지원하고 부동산평가제도,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등 도시정보 인프라, 한국형 CM(건설, 감리, 공정관리 등) 등을 전파할 계획이다. 

아울러 민관 합동 수출추진단을 운영하면서 스마트 시티 정책의 컨트롤타워 기능도 강화할 계획이다.


■국내 ‘스마트 시티’ 고도화 방안

한편, 국토부는 국내에도 스마트 시티 고도화 및 산업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이달부터 세종시, 동탄2, 판교, 평택고덕 등 신도시에 민관협업(LH, 지역난방공사, SKT 등)으로 특화형 실증단지 조성에 착수한다.

기존 도시에도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자립섬’, ‘태양광 발전’ 등이 적용되는 에너지 중심 스마트 시티를 2025년까지 전국 13개 지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2018년까지 총 5천668억원의 사업예산(국비 660억원)이 투입된다. 

또한 환경·산업·미래·농림부 등 부처 합동으로 추진중인 ‘친환경에너지타운’도 다양한 수익모델과 함께 현재 홍천에서 인제, 음성, 보령, 완주, 제주 등 19개소로 확대한다.

안전·교통·에너지 등 ICT 솔루션은 대구·부산의 테스트베드를 통해 실제 도시의 시설물 등을 대상으로 검증해 기술을 보완하고 고도화할 계획이다.
_ 이오주은  ·  한국건설신문
다른기사 보기
yoje@conslove.co.kr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 사진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