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한국농어촌공사 및 한국농촌계획학회,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2020 제18회 한국농촌계획대전’과 ‘제15회 한국농촌건축대전’을 개최한다.
이번 한국농촌계획대전에서는 ‘미래를 담는 농촌’을 주제로 농촌인구의 고령화, 포스트 코로나19, 4차 산업혁명이라는 사회 ·경제적 변화 속에서 살기 좋은 농촌마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를 모집한다.
예를 들면 농촌·농업환경의 보전과 농촌재생, 건강과 안전·힐링을 추구하는 살기 좋은 농촌마을, 스마트 시대의 농업·농촌과 편리한 농촌공간, 활발한 주민참여와 유휴시설을 활용한 농촌활성화 등이 있다.
한국농촌계획대전의 아이디어 공모대상지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농촌중심지활성화·기초생활거점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 중 10곳이며, 농촌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한국농촌계획대전 아이디어 공모대상지
시도명 | 시군명 | 지구명 | 주소 |
세종 | 세종시 | 전의면 | 세종시 전의면 만세길 9 |
소정면 | 세종시 소정면 소정구길 204 |
강원 | 홍천군 | 남면 | 홍천군 남면 명덕길 24 |
충북 | 음성군 | 생극면 | 음성군 생극면 음성로 1646 |
전북 | 완주군 | 소양면 | 완주군 소양면 소양로 231 |
완주군 | 운주면 | 완주군 운주면 운주로 134-4,134-8,136 |
전남 | 곡성군 | 곡성읍 | 곡성군 곡성읍 읍내14길 14 |
강진군 | 강진읍 | 강진군 강진읍 중앙로 150 |
경북 | 영덕군 | 영해면 | 영덕군 영해면 예주3길 7 |
경남 | 고성군 | 고성읍 | 고성군 고성읍 일원 |
한국농촌건축대전의 주제는 ‘농촌유휴시설의 리모델링’으로, 농촌지역에 방치된 건축물을 지역주민과 도시민이 찾아오는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리모델링 계획을 모집한다.
한국농촌건축대전은 건축, 농촌계획, 환경 등 분야를 전공한 대학생과 일반인으로 참가 자격이 한정된다. 참가자는 각 공모전의 아이디어 공모대상지 중 한 곳을 선택해 마을 발전계획 또는 유휴시설 리모델링 계획을 제출하면 된다.
한국농촌건축대전의 아이디어 공모대상지는 ‘농촌유휴시설활용 창업지원사업’에 선정된 9곳 또는 타 지역의 유휴 건축물을 자유롭게 선택해 제안할 수 있다.
농촌유휴시설활용 창업지원사업 대상지
시도명 | 시군명 | 현재 용도 | 주 소 |
강원 | 정선군 | 농산물직판장, 창고 | 강원 정선군 화암면 송이재길 425 |
충북 | 제천시 | 창고 | 충북 제천시 수산면 월악로26길 45 |
충남 | 보령시 | 출장소창고 | 충남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 3길 376 |
전북 | 고창군 | 도서관 | 전북 고창군 고창읍 태봉로 361 |
전남 | 강진군 | 이한영생가(주택)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백운로 107 |
전남 | 무안군 | 가공공장, 사무실 | 전남 무안군 일로읍 백련로 663 |
전남 | 영암군 | 폐교 | 전남 영암군 삼호읍 난전로 117 |
전남 | 신안군 | 농협창고 | 전남 신안군 암태면 장단고길 7-81 |
경북 | 김천시 | 희망 체험관 | 경북 김천시 남면 석정길 141-22 |
신청마감일은 한국농촌건축대전은 6월 30일, 한국농촌계획대전은 7월 24일까지이다.
제출된 응모작에 대해서는 농촌계획 전문가와 농촌건축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해 각각 7점의 우수작을 선정한다.
대상(각 1점, 농식품부 장관상, 상금 500만 원)을 포함해 두 공모전에 총 2,6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되고, 입선작(다수)에는 소정의 기념품을 증정한다.
각 공모전의 우수작과 입선작의 전시와 시상식은 9월 22일~28일까지 서울메트로 미술관 제1전시관에서 진행된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농림축산식품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