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하천과 습지, 식물의 역동적인 적응과 생태
역동적인 지형 공간에 살아가는 식물들의 독특한 삶의 방식들라펜트l기사입력2023-05-10

이율경, 백현민 저 │ 189×239㎜ │ 512쪽
발행일 2023년 4월 15일 │ 정가 35,000원 │ 출판사 좋은땅
참생태연구소가 ‘하천과 습지, 식물의 역동적인 적응과 생태’를 펴냈다.
이 책은 오래전부터 저자가 생각했던 우리나라 현실에 맞고, 우리말로 된 식물학적 관점에서 하천 습지 관련 내용을 정리한 생태 전문 서적이다. 가능한 한 국내 자료·사진들을 이용하고자 노력했고,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그림과 사진을 사용했다.
지구라는 거대한 생명체는 가뭄, 홍수, 태풍 등으로 동적평형을 이루려고 항상 몸부림친다. 한반도는 여름철 강수에 영향을 크게 받는데, 특히 하천 습지를 기반으로 살아가는 식물들은 육상 식물보다 생존에 더 많은 적응이 필요하다. 본문은 이들의 역동적 적응 전략과 생태적 특성들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들로 이뤄져 있다.
책의 내용은 총 7장으로, 제1부의 기초가 되는 하천 습지의 생태 환경과 제2부 그 속에 살아가는 식물과 식물 사회의 적응과 특성으로 구성돼 있다.
제1부에서는 하천 습지의 개념과 정의를 포함해 맥박식의 수문 주기, 범람에 따른 강한 교란 체계, 침수 또는 침수·배수가 순환되는 토양 환경처럼 독특하고 동적평형의 역동성, 상호 작용의 연속성을 지닌 생태 환경을 기술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이런 생태 환경을 보유한 하천 습지에서 경쟁보다 강한 적응력으로 살아가는 역동적인 식물들의 형태적, 생리적, 생식적 진화 특성들과 그 속의 식물 사회에 대한 내용이 잘 정리돼 있다.
내용 전개는 항상 ‘왜?’, ‘어떻게?’라는 질문으로 시작했고, 더 보강해야 할 주제나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내용은 식물 생태학적 관점에서 하천 습지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하려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생물·생태 관련 대학생, 기관 및 전문업 종사자, 기업 및 환경 단체 종사자, 관심 있는 개인들이 그 대상일 것이다.
한편, 참생태연구소는 다양한 생태학적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화된 지식과 차별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0년 설립됐다. 생물 다양성 보전과 국토의 지속 가능하고 건전한 이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전문 서적 출판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다.
목차
<제1부. 하천 습지의 생태환경>제1장 개념 │ 정의 │ 분류1. 습지와 하천의 정의1.1 습지의 정의1.2 하천의 정의2. 습지의 분류2.1 습지 분류체계2.2 하천 습지의 영향 인자3. 습지의 경계 설정3.1 경계 설정 요소3.2 습지식물로 습지경계 인식4. 습지의 기능과 중요성4.1 하천 습지의 기능4.2 가치와 중요성5. 습지와 하천의 분포5.1 주요 습지의 분포5.2 세계와 한반도의 주요 하천 분포제2장 하천지형 │ 하천작용 │ 한반도 지형1. 지형 형성과 공간 구조1.1 하천의 발달1.2 물길 구조2. 유역경관과 단위지형2.1 경관 수준의 유역적 접근2.2 물길과 유출량의 평형2.3 지형단위 수준의 횡단면적 접근3. 하천작용과 퇴적물 이동3.1 하천작용과 물리적 특성3.2 퇴적물 이동과 충적지형의 발달3.3 하천 횡구조물에 의한 퇴적물 이동의 변화4. 충적지형의 발달과 특성5. 우리나라의 하천지형5.1 지질 및 지형 특성5.2 우리나라의 하천 구분과 주요 특성제3장 기후 │ 수문 │ 토양1. 기후1.1 기후 영향1.2 한반도 기후 특성2. 물의 순환과 흐름, 토양수2.1 물의 특성과 순환2.2 유량과 물흐름2.3 토양에서 식물의 물흡수와 물순환3. 기온과 수온4. 퇴적물과 토양 환경제4장 화학 │ 생물1. 식물의 필수 영양염류와 영향 물질1.1 식물의 필수 영양염류1.2 기타 영향 물질2. 탄소, 질소, 인, 황의 순환2.1 탄소 순환2.2 질소 순환2.3 인 순환2.4 황 순환2.5 인과 질소, 부영양화와 물질순환3. 수환경과 수질3.1 수환경 특성3.2 pH(수소이온농도)3.3 산소와 이산화탄소3.4 조도와 부유물질, 염분도4. 생물 생태적 과정4.1 영양단계의 물질순환과 에너지 흐름4.2 유기물 분해의 생물적 과정과 물속 생물다양성제5장 인간 영향 │ 현명한 이용1. 산업화와 도시 발달1.1 습지 소실과 하천 개량1.2 도시화와 댐 건설, 기후변화2. 수질 오염과 생태환경 개선2.1 수질오염과 홍수유출량 변화2.2 수질 개선3. 습지의 생태문화와 현명한 이용3.1 하천과 습지의 생태문화3.2 습지의 현명한 이용<제2부. 식물과 식물사회 특성>제6장 환경에 대응한 식물적응 │ 반응 │ 발달1. 습지식물의 정의와 분류, 특성1.1 습지식물의 정의와 분류1.2 습지식물의 유형별 특성2. 식물 지리와 공간 분포2.1 식물의 지리 분포2.2 식물의 공간 분포 유형3. 습지식물의 진화와 적응3.1 습지식물의 진화와 생태학적 반응3.2 생물다양성과 자원경쟁4. 수문과 습지토양에서의 식물 적응4.1 수환경에서의 식물 적응4.2 침수토양에서 식물 적응4.3 생활형 적응4.4 식물 기관의 형태적 적응5. 식물의 번식과 산포 전략5.1 식물의 번식 방법5.2 산포와 개체군 유지6. 천이적 변화7. 식물학적 관점에서의 습지 유형화7.1 식물상을 고려한 습지분류7.2 습지유형별 특성제7장 식물종 │ 식물사회1. 하천, 호소의 식물과 수변림1.1 하천과 호소의 식물1.2 수변림의 정의와 분류1.3 수변림의 기능과 특성2. 유역 경관별 식물 및 식물사회2.1 유역별 분포 특성2.2. 하천 습지의 식물사회 체계3. 목본 식물사회3.1 버드나무류림3.2 경목림 또는 기타 연목림4. 초본 식물사회4.1 다년생 초본식물4.2 일이년생 초본식물4.3 수중식물5. 보호식물과 귀화식물5.1 멸종위기야생생물과 중요 식물5.2 귀화식물참고문헌부록(우리나라 습지식물 목록)찾아보기(색인)
- 글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관련키워드l신간, 하천과 습지 식물의 역동적인 적응과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