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행자전용 ‘낙천정 나들목’ 개통
폭 5.0m, 연장 58.2m, 보․차도 분리해 안전 강화라펜트l기사입력2015-09-22

한강 가는 길이 또 하나 열렸다. 한강의 56번째 나들목, ‘낙천정 나들목’이 준공됐다. 보행자와 차량이 함께 사용하던 기존 낙천정 나들목은 차량전용으로 개선하고, 바로 옆에 쾌적하고 환경 친화적인 보행자 전용 나들목을 신설했다.
서울시(한강사업본부)는 9월 21일(월) ‘낙천정 나들목’ 준공식을 진행했다.
보행자 전용 ‘낙천정 나들목’은 폭 5.0m, 연장 58.2m으로 광진구 자양동에 위치한다. 한강공원의 자전거도로 및 산책로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민들의 이동이 많은 곳이다.
보행자 나들목 설치 전에는 시민들이 자양동에서 한강공원을 접근하려면 자동차와 보행자가 함께 나들목을 이용해야만 해서 교통사고의 위험성에 노출이 불가피했다. 또한 차량 통행이 많아 매연, 먼지, 소음 등 시민들의 불편 개선 요청이 꾸준히 제기됐다. 진입로도 급경사여서 노약자, 장애인 및 자전거 등이 이용불편을 겪었으며 조명이 노후해 어두워 시민 불편이 가중되었던 곳.
이에 서울시는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 증진을 위해 2013년 4월부터 ‘낙천정 나들목(보도)’ 증설공사를 시작했다. 보행자 전용 나들목을 준공하는데 만 2년의 공사 기간과 총 60억원의 비용이 소요됐다.
‘낙천정 나들목(보도)’는 엘리베이터 및 핸드레일을 설치하여 장애인이나 자전거 이용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한, 기존 ‘낙천정 나들목’는 차량 전용으로 조성하고, 조명(LED)도 개선 설치하여 차량사고 위험을 최소화 하였다.
‘나들목’은 제방으로 가로막혀 있는 한강과 마을을 잇기 위해 만든 동굴 형태의 구조물로서 오랫동안 단순통로로 활용되어 왔다. 또, 시설 자체가 투박한 콘크리트 벽면으로 되어 있고, 어둡고 칙칙해 일명 ‘토끼굴’로 불리며 시민들의 접근이 어렵고 활용도 또한 낮은 편이었다.
이번 낙천정 나들목은 전문가와 협력을 통해 디자인부터 친환경 자재 사용까지 다각도로 검토하여 만들었다.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유기적인 디자인을 적용하고, 한강의 물결을 상징하는 도자블럭(점토를 구워서 만든 벽돌)과 노출콘크리트로 마감하는 등 자연친화적인 공간으로 조성했다.
또한 낙천정 나들목을 통해 한강으로 진입하면 마주하는 둔치에 ‘전망데크’를 설치에 탁트인 한강을 조망할 수 있는 휴식 공간을 마련했다
고홍석 서울시 한강사업본부장은 “앞으로도 많은 시민들이 한강을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시설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 글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관련키워드l낙천정 나들목, 보행자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