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촌 녹지복원, 남산~한강 생태축 연결

라펜트l기사입력2009-05-18

6․25 동란, 70․80년대 개발 붐 등을 거치면서 각종 건설사업 등으로 단절된 남산과 용산공원 사이가 녹지로 대거 복원된다.

서울시(시장 오세훈)는「남산 그린웨이(근린공원) 사업」을 통해 남산에 드리운 회색빛을 거둬내고 단절․훼손된 생태녹지축을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이 지난 1994년 남산외인아파트 철거를 뛰어 넘어 남산의 자연성을 회복하는 획기적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오세훈 시장은 “남산에 사는 다람쥐가 남산 그린웨이와 용산공원을 지나 한강에서 물을 마시고 다시 돌아올 수 있을 만큼 서울 도심에 중요한 생태거점이 생겨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오 시장은 “이번 남산 그린웨이 조성 계획에 이르기까지 서울의 그린 디자인은 콘크리트를 허물어 생태를 복원하고 녹지를 확충하겠다는 결단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 현재의 훼손된 논지현황(해방촌) / 복원된 녹지축

남산~용산공원 훼손된 104,000㎡ 복원, 남산과 한강사이 생태축 연결
「남산 그린웨이 사업」구간은 남산~용산공원으로서 서울시는 주택지 조성 등으로 훼손된 남산자락을 나무숲이 우거진 녹지로 조성, 남산과 한강 사이에 단절된 생태축을 연결하겠다는 계획이다. 최소100m~최대 190m 폭을 가진 700m의 길이의 초록길, 남산 그린웨이가 생기는 것이다.
「남산 그린웨이 사업」 대상지역은 용산2가동으로서 해방촌이라 불리는 57,000㎡ 일대와 국방부 군인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는 47,000㎡를 포함한 총 104,000㎡ 규모다.
이들 지역은 남산에서 자연스럽게 내려오는 능선으로서 한강로 및 반포로 등 다양한 장소에서 조망이 가능해 남산의 초록색 자연과 한강의 물줄기가 어우러진 서울의 멋진 자연경관을 볼 수 있는 날이 머지않은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복원구간 내의 조망시설, 쉼터 등의 편의시설과 산책로 등 인공구조물은 최소화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살린다는 계획이다.


▲ 생명의 녹지축 연결 계획

해방촌 구릉지역+후암동 노후 역세권 단일 개발하는 ‘결합개발 방식’
남산그린웨이 조성사업 추진은 해방촌 구릉지역과 후암동 역세권의 노후불량지역을 단일 사업구역으로 개발하는 일명 ‘결합개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서울시는 결합개발 방식이 후암동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 적정한 개발을 통해 난개발 가능성을 차단하고 해방촌 녹지복원에 따른 주민들도 수용, 이주대책까지 마련하는 가장 적합한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해방촌 구릉지 지역은 녹지공원으로, 후암동 지역엔 공동주택 건립
결합개발 방식을 통해 해방촌 구릉지지역은 녹지(공원)으로 조성하며, 후암동 지역은 공동주택 건립이 가능하도록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하여 후암동 주민은 물론 해방촌 주거민들을 수용할 계획이다.
건축규모는 최고높이 5층(20m)에서 평균층수는 12층, 18층 이하로 높이가 완화되며 한강로변은 고층으로 유도하고 건축물 용도에서도 준주거지역의 용도가 허용될 수 있도록 계획했다. 단 한강로에서의 남산 조망을 위해 통경축을 확보하도록 지침을 부여할 예정이다.

군인아파트 부지는 관계부처 협조를 통해 용산공원 조성과 연계해 추진
또 수도방위사령부 소유의 4동 군인아파트 및 공터가 들어서 있는 국방부 소유 토지에 대한 녹지조성 사업은 국방부, 국토해양부 등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추후 용산공원(2016년 완공 목표) 조성과 연계해 추진한다. 단, 이와 연계한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해 특별계획으로 지정, 개발 방지장치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손미란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s-mr@hanmail.net
관련키워드l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 사진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