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54
IMF 한파 타개하는 아이디어산업으로 각광 ; 산림청 임업연구원 캔야생화 재배기술 개발
산림청 임업연구원(원장 박재욱)이 이번에 내놓은 우리나라 자생 야생화 20여종을 상품화 하는데 있어 가장 포인트가 되는 노하우는 종자와 뿌리...
월간 환경과조경/19983월호
모래땅의 사계, 자연과 인간의 경이로운 대화
산림청에서 첫 실무를 시작했다. 1933년 위스콘신 대학교 농경제학과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하며 처음 자연 보전과 관련된 과목을 가르치기 시작했...
월간 환경과조경/20142월호
제 16회 올해의 조경인 _ 학술분야: 양홍모
산림청의 도시숲법 제정추진 반대, 조경관련 법제·개정 추진, 중앙부서와의 네트워크 구축 등에 적극적으로 활동했다. 그가 ‘제16회 올해의 조...
월간 환경과조경/201312월호
2013년 조경계 10대 뉴스
1. 정원열풍 대한민국 강타2. DMZ 세계평화공원 조...산림청, 지속되는 조경영역 잠식 논란10. 환경조경 나눔연구원 개원
월간 환경과조경/201312월호
제5회 대한민국 도시숲 설계공모대전
산림청은 도시민들의 행복한 삶에 기여하는 도시숲을 설계 방향으로 제시했으며, 전국 총 19개소의 대상지를 사전에 공개했다. 대학생을 비롯해 ...
월간 환경과조경/201311월호
성공적 귀농귀촌 정착을 위한 ‘마을공동체 정원 조성방향’ 세미나
산림청의 정원 사업 정책방향, 산림자원 ‘육성...산림청과 귀농귀촌진흥회가 주최하고, 국립수목...산림청의 정책방향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였다....
월간 환경과조경/20139월호
<환경과조경>의 새로운 미래를 위해
산림청의 도시숲 법안을 비롯하여 도시디자인, 경관, 공공디자인, 도시농업, 정원, 어린이 놀이터 총량법안 등 지난 한 해동안에도 우리 조경의 ...
월간 환경과조경/20139월호
조경의 경계를 넘어: 조경의 영토를 넓혀나가는 주목할만한 조경가 12인(6)
산림청 등에서 다양하게 벌이고 있는 생태하천 조성사업, 백두대간 복원사업, 생태도시 조성사업, 생태축 조성사업, 생태계보전 반환금사업 등 ...
월간 환경과조경/20136월호
Interview _ 정원박람회, 순천만보존을 위한 ‘생태놀이터’
산림청과 정부의 지원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박람회장에는 각 나라의 전통과 고유의 특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세계 국가 전통정원 11개를 비...
월간 환경과조경/20135월호
제4회 국유지 도시숲 설계 공모대전
산림청 주최, (사)한국산림휴양학회 주관으로 진...산림청의 도시숲 정책방향에 맞추어 인위적 시설...산림청에서 시행하는 사업의 홍보효과 또한 기
월간 환경과조경/20121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