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14건
- 좌담 ; 역사경관의 재해석, 그리고 창조적 계승의 가능성과 과제
-
홍광표 교수 : 전통경관의 해석이란 문제는 역사...교수 : 역사물의 연구에 있어서 조경디자인적 접근을 통한 대안을 제시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한 ...
월간 환경과조경/1995년5월호
- (사)한국전통조경학회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
-
홍광표 회장(동국대 교수)은 “건설경기의 악화로 조경 산업 자체가 위축되어 있다. 특히나 전통조경이라는 것은 한정된 분야를 다룬다는 오해로...
월간 환경과조경/2013년5월호
- 국립문화재연구소 개소 40주년 기념“명승의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심포지엄
-
교수 및 발표자들이 모여 우리나라 문화재 보존의 최고 권위자인 이인규 위원장을 좌장으로, 보존론적 입장에서 벗어나 명승지주민들의 불편을 ...
월간 환경과조경/2009년12월호
- 2009 인천 IFLA-APR 총회 준비상황
-
홍광표), 행사위원회(위원장 박종성) 등 3개 위원회가 꾸려졌으며, 위원회별로 각각 3개 분과위원회를 두어 체계적인 실무를 추진하게 되었다. 행...
월간 환경과조경/2009년7월호
- 일본 아미타바이엔 한국정원을 보고 한국 전통조경을 생각하다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월간 환경과조경/2004년9월호
-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한국전통조경에 내재하는 동양사상
-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다양한 종교와 철학...홍광표, 한국조경, 전통조경, 철학, 사상, 별서, 사찰, 서원
※ 페이지 : 80-87
월간 환경과조경/1997년7월호
- 역사경관의 전통성과 창조적 계승을 위한 재조명
-
경관이라는 것은 인간이 가진 삶의 미학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결과로서 그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되며, 전시대의 경관에 다음 ...
월간 환경과조경/1995년7월호
- 워터파크(Water Park) ; 워터파크의 유형
-
워터파크는 물을 우세요소(dominant element)로 도입하여 공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주제공원, 혹은 물 중심공원이라고 앞에서 정의한 바 있다. 이...
월간 환경과조경/1994년6월호
- 전통조경에 나타난 과학성 ; 전통구조물 및 시설에 나타난 선조들의 지혜
-
우리나라는 예부터 경사지 이용에 있어서 매우 지혜로운 생각을 갖고 있었다. 배산임수라 하여 물을 앞에 두고 산을 뒤로 하여 마을을 형성하고 ...
월간 환경과조경/1993년9월호
- 사찰의 외부공간 구성요소
-
석조점경물이란 자연재료인 돌을 인위적으로 깎거나 다듬어서 만든 비교적 규모가 작은 경관구성요소로서, 우리나라 전통건축공간에서는 흔히 ...
월간 환경과조경/1988년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