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환경용지표방, 산업용도 변질되선 안돼”
녹색 새만금 마련위한 공청회 개최환경부는 '새만금 내부개발 기본구상 및 종합실천계획'의 후속조치로 새만금지역의 생태복원을 위한 연구용역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등에 의뢰했다. 이와 관련해 현재 「새만금 생태환경용지 조성계획 및 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이란 제목의 프로젝트가 수행(’09.12∼’10.9)되고 있다. 연구의 결과(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7월 26일(월) 서울 한국언론재단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실(20F)에서 공청회가 개최됐다.
이날 공청회에는 이만의 환경부 장관과 강현욱 새만금위원회 민간공동위원장 등 관련인사도 자리했다.
이만의 환경부 장관
강현욱 새만금위원회 민간공동위원장
방상원 연구위원
"새만금 생태환경용지 조성방안"을 주제로 첫 번째 주제발표를 진행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방상원 연구위원은 새만금 전체 면적의 21%에 해당하는 5,950ha(여의도 면적 7배)의 비전과 조성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수질개선과 생물다양성 확보 및 증진, 생태네트워크 구축 등이 기능을 하게 되는 새만금 생태환경용지는 북구권역, 복합도시 1~3권역으로 나뉘며, 조류서식지, 습지공원, 수질정화습지, 인공생태섬, 샛강공원, 수변녹지, Eco-Sharing park, 환경용지내 유일한 건축물인 새만금환경센터, 탄소중립의 숲 등이 도입된다."고 전했다.
조동길 원장
이어서 두 번째 발표는 조동길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원장이 "새만금 생태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주제로 새만금의 생태환경을 고려한 생태네트워크 가이드라인 수립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5개월간의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석안을 내놓았다. 조동길 원장은 "새만금 내 토지이용 용도별 특성을 고려한 실행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며 단계별 생태네트워크 실행 방안 마련을 강조했다. 특히 광역차원의 생태축조성을 위해 관계부처간 협의와 공청회 등의 지속적인 운영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종합토론
이날 토론에는 이창석 서울여대교수, 성현찬 단국대 교수, 변찬우 상명대 교수, 송인주 서울시정 연구원, 유진상 서울신문 편집부장, 김진태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등 학계·언론계·환경단체·전문가들의 토론 및 관련 업계 의견수렴 순서로 진행되었다.
토론에서는 전체토지용계획, 생태네트워크의 선 확정 후 환경용지계획에 대한 계획이 이어져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새만금지구가 육지와 해안을 잇는 완충공간으로서의 생태공간이 자리잡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시되었다. 또한 기존 면적보다 더 넓은 공간의 습지가 조성되어야 할 것도 주문했다.
환경용지로 표방하면서, 산업용도로 사용되지 말아야 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개진됐다. 자연이 주인이 되는 설계, 즉 현 대상지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접목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토론에서 나왔다.
- 강진솔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kegj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