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생태계 서비스] 생태계서비스 조경분야 적용을 위한 사례와 전략

김무한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
라펜트l김무한 교수l기사입력2020-01-23

생태계서비스 조경분야 적용을 위한 사례와 전략



_김무한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해마다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받는 혜택은 100조 달러(미화)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전 세계 최상위 50개 기업의 수익을 합친 금액이 10조 달러임을 감안하면 얼마나 가치가 높은지 확인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더라도 생태계가 제공하는 가치는 간과할 수 없는 수치임을 말해준다. 생태계가 제공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를 수치로 보여줄 때 적어도 다음의 2가지 사항을 고려하게 된다. 첫째, 개발과 보전 혹은 양립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개발 대상지의 생태자산의 보존과 개발의 양립 구도에서 어느 쪽이 더 합리적인 선택인지에 대한 이해를 얻도록 함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목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생태계서비스는 자연의 분명한 가치평가를 통해 생존을 위한 필수사항을 결정하도록 하고 이를 구성원들과 함께 공유함으로 관리하도록 돕는다. 즉, 생태계서비스는 합리적인 목표수립과 구성원들의 사회적 합의를 이끌기 위한 근거들을 제공한다.

새천년생태계평가에서 생태계서비스는 지지서비스, 조절서비스, 공급서비스, 문화서비스의 네 항목을 다룬다. 지지서비스가 생태계의 물질순환과 같은 생태계서비스의 토대가 되고, 그에 따른 혜택(Contribution)으로 재해조절과 같은 조절서비스를 제공하며, 각종 생산물 혜택을 제공하는 공급서비스와 인간의 체험적인 측면에서 문화서비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생태하천을 만들을 경우 새로운 씨앗들을 뿌려 기존에 없던 식생이 자라기 시작하면 그곳엔 지지서비스가 작동될 수 있는 기작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시의 열을 내리고 탄소를 저장함으로 조절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만일 그 안에서 경작이 발생하면 공급서비스가 제공되고, 그 안에서 사람들이 휴식과 여가를 즐기게 된다면 문화서비스 또한 혜택으로 누리게 된다. 그렇다면 조경은 이미 생태계서비스의 일부 영역으로 인식되며 새로운 개념이 아닌 조경연구에서부터 조경계획 및 설계, 그리고 관리에 이르기까지 조경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개념이 될 수 있다.

조경계획/설계 과정상 생태계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상 적용될 수 있다. 1) 대상지 분석을 통해 대상지의 문제점 및 기회 요인들을 확인한 이후, 2) 대상지를 통한 생태계서비스 목표를 수립한다. 3) 조경계획을 위한 대상지 분석과 목표수립 등을 완료하고, 4) 구체적인 생태계서비스 적용 항목들을 결정하고 수립한다. 5) 이후 조경계획이 생태계서비스 기능으로 이어지도록 각 세부 항목들을 확인/결정하고, 6) 조경 설계단계에서 생태계서비스의 세부 목표들과 부합되는 설계를 하도록 한다. 7) 이후 설계 과정을 거쳐 시공 이후 평가 가능한 생태계서비스 평가 매트릭스를 통해 대상지의 주요 기능을 선정하고 이후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대상지가 저장할 수 있는 지표수의 총량을 계산하여 이를 조경계획 및 설계를 위한 목표로 수립한다면 조절서비스의 기능을 갖는 사례가 된다.

조경계획/설계/관리 등 전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사례로 SITES 인증제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 활용되는 SITES는 지속가능한 계획 및 설계를 통해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조경가협회(ASLA)주도로 만들어졌으며 생태계서비스 증진이라는 목표로 조경계획/설계를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SITES 인증제도의 가치는 다음과 같이 소개되고 있다. 조경 및 인접 환경디자인 분야에 좋은 선례가 되게 하며, 건강/안전/인간복지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의 조경 및 환경 계획/설계를 유도한다. 또한, 개발자들은 자신들의 프로젝트가 엄격하고, 현장에서 확인되는 기준들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고 있음을 확신할 수 있게 하며, 그들의 프로젝트가 SITES 인증제를 통해 광고 및 홍보를 할 수 있게 돕고 있다. 또한, SITES 인증제는 미래세대에 대한 그들의 필수적인 생태계서비스를 확보 할 수 있도록 현시대의 책임과 의무를 다할 수 있게 돕는다. SITES 적용대상인 대학캠퍼스, 대규모 도시계획, 쇼핑몰, 공원, 상업중심지역과 개인주택에 이르기까지 생태계서비스 개념이 계획에서부터 시행 및 관리에 이르기까지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SITES 인증을 위한 10가지 가이드라인 원칙이 수립되어 있어 이는 조경 계획/설계/관리에 있어 참고가 된다.

SITES 가이드라인 원칙

1. Do not harm: 주변 환경을 훼손하는 개발행위는 하지 않는다. 이미 훼손된 지역은 지속가능한 계획 및 설계를 통해 생태계서비스를 재증진시키는 기회로 삼는다.
2. Apply the precautionary principle (예방차원의 원칙 적용): 인간과 환경의 건강을 위협하는 의사결정에 경종을 울리기 위한 다양한 대안들을 마련하여 확인한다.
3. Design with nature and culture: 지역, 지구, 글로벌한 맥락에서부터 문화, 환경, 경제적 현황을 고려한 계획 및 설계를 시도한다.
4. Use a decision-making hierarchy of preservation,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현존하는 생태자산들을 보존하는 것에 의해 생태계서비스 제공을 극대화하고,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자원들을 보존한다. 훼손됐거나 파괴된 곳은 생태계서비스를 재증진 시키도록 한다.
5. Provide regenerative system as intergenerational equity (세 대간 평등의 차원에서 재증진 시스템을 제공): 재증진된 시스템과 개선된 생태자원들로 지속가능한 환경을 다음 세대에 제공한다.
6. Support a living process: 지속적인 평가를 시도하고 환경변화와 인구변화에 적응하도록 한다.
7. Use a systems thinking approach: 생태계와 인간 활동 사이의 필수적인 관계와 방향을 재설정하고, 지속가능한 생태계서비스의 방향과 관계를 가치화하고 이해한다.
8. Use a collaborative and ethical approach: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열린 소통과 참여를 장려하고 윤리적인 책임하에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고려한다.
9. Maintain integrity in leadership and research: 분명하고 참여가 가능한 리더쉽을 발휘하고, 명확하며 시의적절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뒷받침되도록 한다.
10. Foster environmental stewardship: 토지개발과 관리의 모든 측면에서 환경윤리를 장려하고 미래세대와 현재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건강한 생태계의 관리에 대한 책무를 이해한다.
조경연구 분야에서도 생태계서비스는 새로운 연구주제가 될 수 있다. 생태계서비스는 연구접근 측면에서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1) 생태계서비스 혜택이 높은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비교연구를 통해 생태계서비스의 필요를 강조하는 연구, 2) 구체적인 방법과 가설을 실험과정에서 조정함으로 실험환경에서 지속적인 변화 요인들을 확인하여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 3) 도시공원과 같은 도시환경의 계획된 상황에서 그 가치를 강조할 수 있는 연구를 들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조경연구 분야에서도 그 외연을 확장하기 위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는 최근 증가하는 생태계서비스 연구의 흐름 가운데 조경 연구자들이 어떻게 합류할 수 있을지 참고가 된다.

생태계서비스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합의를 이끌기 위한 중요한 개념이 되겠다. 또한, 내용상 조경에서 다루는 많은 내용들이 생태계서비스 개념에 포함됨으로 조경의 외연을 키울 수 있는 개념이 될 수 있다. 최근 조경계가 직면한 여러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
_ 김무한 교수  ·  공주대
다른기사 보기
itl_lab@kongju.ac.kr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