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

현 위기, 슬기로운 극복이 필요해

월간 환경과조경20121285l환경과조경


양홍모

(사)한국조경학회 회장, (재)환경조경발전재단 이사장

새해 환경과조경 독자 여러분, 학계와 산업계에서 일하시는 조경인 모두, 그리고 타 분야에 계시지만 조경 발전을 위해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희망과 행운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지난해 조경 분야에는 어느 해 보다 많은 난관이 있었습니다.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 부분의 조경 사업이 대폭 줄어 조경 산업계는 어느 때 보다 어려움을 겪었고, 이 여파로 조경학과 졸업생들의 취업난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국내·외 경기불황에 일차적 원인이 있었으나, 정부 정책에 조경 분야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못한데도 원인이 있습니다. 조경기본법 국회 통과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김진애 의원과 주무부서인 국토해양부의 반대로 18대 국회에서 통과가 불가능한 실정입니다. 몇몇 인접 분야는 조경 고유의 영역까지도 자신들 영역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조경을 건축의 일부로 다루겠다는 건축기본법 개정안과 산림청이 주도한 도시숲법안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새해에는 조경 분야에 난관보다는 희망이 많이 찾아오길 기원하면서, 새해 여러분들과 함께 추진하고자 하는 중요한 일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녹색인프라 구축은 현 세대는 물론 다음 세대의 환경 복지와 녹색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일입니다. 정부ㆍ국회ㆍ지자체ㆍ시민들이 공원, 녹지 등 녹색인프라 투자를 도로, 교량 등 회색인프라 투자만큼 중요하게 여기도록 사고를 바꾸는 운동이 절실하여, (사)한국조경학회와 (재)환경조경발전재단은 2011년부터 녹색인프라 구축과 국가도시공원 조성 운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국가도시공원 조성 및 녹색인프라 구축 전국순회 심포지엄을 전국 6대 권역에서 개최하였고, 7번째로 국회에서 심포지엄을 가졌습니다. 올해도 녹색인프라 구축 및 국가도시공원 조성 운동을 꾸준히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둘째, 조경의 새로운 영역을 확장하는데 노력하겠습니다.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는 녹색인프라 구축 정책을 개발하고, 녹색인프라 구축을 법률적으로 뒷받침하는 녹색인프라 법안을 추진하겠습니다. 2011년 9월 30일 발의된 국가도시공원 조성을 위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개정안이 18대 국회에서 통과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국가가 투자하는 국가도시공원이 2013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하여 2020년 미집행도시공원 일몰제 전까지 용산국가공원과 같은 대형 국가도시공원이 전국에 15개가 조성되길 기대합니다. 국가도시공원은 녹색인프라 구축의 핵심적 역할을 할 것입니다.

셋째, 조경 고유의 영역을 지키는데 노력하겠습니다. 조경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도시숲법의 제정을 최대한 막아야겠습니다. 2011년 11월 22일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법률안심사 소위 공청회에서 도시숲법 제정반대 의견을 진술하였습니다. 수목 식재 시 식재할 공간의 위치가 달라지면 학문과 업역, 주무부서도 달라지는 사실에 대해 산림청은 잘못 이해하고 있으며, 조경과 국토해양부가 다루는 도시 공간의 다양한 녹지와 공원, 학교 조경, 가로 조경을 단지 이름만 숲으로 바꾸어 산림청과 임학이 다루겠다는 발상은 잘못된 것임을 지적하였습니다. 또한 산림청과 같은 역할을 하는 미국의 ‘US Forest Service’는 도시 한복판의 건물 주변, 주택단지, 학교, 가로도로, 보행자 전용도로, 인공지반, 공원에 나무를 심는 업무는 하고 있지 않는 것을 예로 들어 산림청에게 도시숲 즉 도시림urban forest만을 다룰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넷째, 녹색 성장과 환경 복지를 위해 조경 분야가 제시하는 정책들이 국가 정책에 원활히 반영되도록 국토해양부에 조경을 전담하는 담당관이 임용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사)한국조경학회와 (재)환경조경발전재단을 중심으로 국회ㆍ정부ㆍ지자체ㆍ언론에 대한 조경 홍보를 강화하겠습니다. 조경 영역의 확대를 위해서는 도시 계획, 도시 설계 등 인접 분야와 학술 및 정책 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는 포용력과 통합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인접 학회와 공동으로 세미나 및 학술대회 개최를 추진하겠습니다. 한ㆍ중ㆍ일 국제 심포지엄 등을 통하여 외국과 조경 기술 교류를 확대하고, 국내 조경 산업이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는 기틀을 마련하는데 노력하겠습니다.

(사)한국조경학회와 (재)환경조경발전재단은 현재의 위기 극복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그동안 조경 분야는 크고 작은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적응해 왔습니다. 조경인 모두가 열정과 자신감을 가지고 힘을 합하여 현재의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겠습니다. 우리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힘을 합하여 도전할 때 가장 중요한 하나가 있는데, 방향을 잘 잡아야겠습니다. (사)한국조경학회와 (재)환경조경발전재단은 녹색인프라 구축과 국가도시공원 조성 운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땀과 눈물과 고통의 강을 건너야 합니다. 우리 모두 힘을 합하여 전진해 갑시다.

말씀드린 내용은 여러분들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추진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The readers of ELA,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ose who are working in academia and industry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people who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let me wish you all a hopeful and prosperous New Year.

Last year,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witnessed a numerous challenges. Especially, since the number and size of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 diminished remarkably, the industry was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more serious than ever before. In addition, college graduates with their degrees in landscape architecture have found it increasingly hard to get employed after leaving school. It was primarily due to economic downturn at home and abroad, and partly because landscape architecture was not properly included in the government policies as an essential and integral part of them. Despite the efforts for enactment of basic laws on landscape architecture, the future the legislation seems quite unpredictable at the moment because of the oppositions from a National Assembly member and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
government department of primary concern. Some other industries have intruded on what has long been considered the original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Amendment for basic laws on architecture indicates that landscape architecture is a part of architecture, and Urban Forest Law initiated by Korea Forest Service could be another example.

I would like to address here a few key issues that I hope we can work together on in 2012.

First, the constr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 is essential for green growth and environmental welfare for a future generation as well as this generation. Government officials, lawmakers, and citizens need to change their views on the investment on green infrastructure such as parks and green, believing that they areas important as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bridges. In 2011,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Korea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 jointly started the campaign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infrastructure and national urban parks. They hosted nationwide symposiums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urban parks and green infrastructure in four different regions of the country and the seventh one at National Assembly. The efforts will ceaselessly be made this year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infrastructure and national urban parks.

Second, the horiz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should continue to be expanded. The pragmatic strategies will be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of green infrastructure, which in turn can be reflected on government policies. Green Infrastructure Law will be constituted, which legally supports the development of green infrastructure. We will have to do our best to make amendment for laws on urban parks and green passed by National Assembly before the end of its term. I hope that a government-financed urban park will begin to be constructed by 2013, and at least 15 major urban parks like Yongsan National Park will have been built throughout the country before Sunset Law for Park Site becomes effective in 2020. National urban parks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green infrastructure.

Third,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has to do its best to protect its own territory. We will have to prevent National Assembly from passing Urban Forest Law, which can considerably affect the industry. We already emphasized that landscape architecture for parks, schools, and streets could never be controlled or managed by Korea Forest Service and forestry by merely changing the title of the
task to forest management. We also pointed out that as US Forest Service has no authority over planting trees around buildings, residential areas, schools, streets, exclusive pedestrian roads, and parks, Korea Forest Service should take care of urban forest only.

 

Fourth, we insist tha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hould hire an official specializ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so that policy-making suggestions for green growth and environmental welfare made by the industry can be effectively understood and reflected on government policies. With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Korea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 playing a central part, we will enhance our promotional efforts toward National Assembly,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media. In order to expand the horizon of landscape architecture, we need to embrace related areas of studies such as civic design and urban planning, and promot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A joint seminar or an academic symposium will be held in cooperation with other academic societies. International symposiums with participants from Japan and China will promote the exchange of techniques and experiences and help lay solid foundations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industry.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Korea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 is currently striving to overcome challenges that we are faced with.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has gone through numerous obstacles and adapted itself for the better. We should be confident in ourselves and stand together side by side. When it comes to fighting against difficulties, it is the most important to go in the right direction.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Korea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 has decided that the

development of green infrastructure and national urban parks is the right direction for us all. As it usually takes a tremendous amount of sweat and tears to make visions come true, we need to pull together and join efforts. Your ideas and opinions will be always welcome. I extend my best wishes to you all for a year of good health and prosperity. Thank you.

 

양홍모  ·  (사)한국조경학회 회장, (재)환경조경발전재단 이사장
다른기사 보기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