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주요경력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환경 최고위과정 주임교수, (사)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회장
최종학위 :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기술자격 :
조경기술사
주요저서 :
고산윤선도 원림을 읽다(2010, 나무도시), 조경에서 본 공공디자인(2009, 건축과사회), 한국의 전통생태학2(2008, 사이언스북스)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주요경력 :
(사)한국전통조경학회 편집위원장, 우석대학교 겸임교수, (사)한국전통조경학회 대외협력집행이사, 중부대학교 겸임교수
최종학위 :
성균관대학교 조경학박사
기술자격 :
문화재수리기술자
주요저서 :
조선시대 궁궐정원의 원형경관 복원을 위한 제안 외 다수((사)한국전통조경학회학회지 70편 이상 등재)
학습내용
- 과정소개
- 전통조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역사와 가치, 이론과 접근 방법에 대한 학습을 토대로 업역과 직무를 넓힐 수 있다. 전통조경의 계획, 설계, 시공, 관리, 소재의 생간과 활용에 대한 특성을 파악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을 기를 수 있다.
- 학습목표
- 전통이 지닌 다양한 의미와 속성, 개념, 그리고 문화유산적 가치를 이해하고 전통조경과 관련된 문화재수리기술자 등의 자격 획득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조경의 정체성을 찾고 앞으로의 복원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 수료기준
- 강의의 100%를 학습하면 수료한 것으로 한다.
- 특징 및 장점
- 전통조경에 대한 이론뿐만 아니라 사례를 통한 실무지식도 얻을 수 있어 실무에 적용 가능하며 학교 교육과 실무의 괴리를 좁힐 수 있다.
- 학습대상
- 공무원, 학교 졸업생, 초·중급기술자
강의 커리큘럼
- 1차시
- 전통조경개론1
- 2차시
- 전통조경개론2
- 3차시
- 한국전통조경개관1
- 4차시
- 한국전통조경개관2
- 5차시
- 전통공간의 정비 및 복원
- 6차시
- 전통공간의 계획 및 설계
- 7차시
- 전통문화유적의 보존
- 8차시
- 전통정원의 원리
- 9차시
- 궁궐의 조경사례
- 10차시
- 서원의 조경사례
- 11차시
- 사찰의 조경사례
- 12차시
- 별서의 조경사례
- 13차시
- 터잡기와 조원과정
- 14차시
- 공간배치기법
- 15차시
- 경관연출기법
- 16차시
- 재식기법
- 17차시
- 수경 및 배수기법
- 18차시
- 가산과 석축기법
- 19차시
- 가림시설과 포장시설
- 20차시
- 점경물 설치
- 21차시
- 전통수종
- 22차시
- 수경 및 배수시설
- 23차시
- 소재로서의 점경물
- 24차시
- 전통공간의 보전과 복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