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
김영욱
((주)한솔에스앤디 대표이사)
주요경력 :
에코그린랜드(주) 생태복원연구소 소장, 가천대학교 겸임교수, (주)유신 레저조경부 전무, 쌍용엔지니어링(주) 이사
최종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석사수료
기술자격 :
조경기술사,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주요저서 :
조경공사 적산기준(2010, 도서출판 조경)

-
최신현
((주)씨토포스 대표이사)
주요경력 :
서울시 건축정책위원, 영남대학교 교수, (주)도하종합기술공사 전무이사
최종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박사수료
기술자격 :
조경기술사
주요작품 :
서울시 신월정수장 공원화 기본계획 현상설계, 서울시 북서울꿈의숲 국제현상설계, 동탄2신도시 워터프론트 마스터플랜 현상공모

-
안계동
((주)동심원조경기술사사무소 대표이사)
주요경력 :
건설교통부 중앙기술심의위원, (사)한국환경계획조성협회 회장, 두산개발(주) 부장
최종학위 :
서울시립대학교 박사수료
기술자격 :
조경기술사, 도시계획기사
주요작품 :
잠실한강공원 특화계획, 서울숲 조성계획, 월드컵공원 기본계획

-
조동길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주요경력 :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대표, 국립한경대학교 겸임교수,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환경부 도시생물다양성 포럼 위원
최종학위 :
서울대학교 박사
기술자격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주요저서 :
생물다양성 보전과 환경정책(2011, 이관규 공저), 생태복원 계획·설계론(2011), 자연환경·생태복원학원론(2004, 김귀곤 공저)

-
이재연
(조경디자인 린(주) 대표)
주요경력 :
한국조경사회 상임이사, 조경설계 서안(주) 실장
최종학위 :
성균관대학교 학사
기술자격 :
조경기사
주요작품 :
행정중심복합도시 첫마을 국제현상설계, 김포한강신도시 자연 앤 힐스테이트 조경설계

-
장성완
(에코앤바이오(주) 대표이사)
주요경력 :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부회장, 서울시 도시공원위원회 위원, 한솔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최종학위 :
서울대학교 박사수료
기술자격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주요저서 :
옥상녹화 조성에 따른 온도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외 다수(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회 등재)

-
김현규
(에코텍엔지니어링(주) 대표이사)
주요경력 :
에코텍생태복원창조기술연구소 소장, 청주대학교 겸임교수,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 극동건설(주) 이사
최종학위 :
서울대학교 박사수료
기술자격 :
조경기술사, 문화재수리기술자, 도시계획기사
주요저서 :
자생자원관리학(2007, 청주학교), 야생화개발과 이용(2000, 한국야생화개발연구회)

-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주요경력 :
(사)한국전통조경학회 편집위원장, 우석대학교 겸임교수, (사)한국전통조경학회 대외협력집행이사, 중부대학교 겸임교수
최종학위 :
성균관대학교 조경학박사
기술자격 :
문화재수리기술자
주요저서 :
조선시대 궁궐정원의 원형경관 복원을 위한 제안 외 다수((사)한국전통조경학회학회지 70편 이상 등재)
학습내용
- 과정소개
- 조경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공원, 생태복원, 인공지반, 정원, 주거단지, 하천, 전통조경까지 각 분야에 대한 시공 및 관리에 관한 내용을 파악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을 기를 수 있다.
- 학습목표
- 조경의 배경, 효과, 설계이론 등을 이해하고 다각적인 시각을 가짐으로써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경에 있어 진행되어지는 과정에 대해 그 배경과 원인 그리고 효과 등을 이해함으로써 다각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 수료기준
- 강의의 100%를 학습하면 수료한 것으로 한다.
- 특징 및 장점
- 조경시공관리에 대한 이론뿐만 아니라 사례를 통한 실무지식도 얻을 수 있어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하며 학교 교육과 실무의 괴리를 좁힐 수 있다.
- 학습대상
- 공무원, 학교 졸업생, 초·중급기술자
강의 커리큘럼
- 1차시
- 조경공사개요
- 2차시
- 공사비 산정
- 3차시
- 토공사및기초공사
- 4차시
- 운반공사
- 5차시
- 기계화시공1
- 6차시
- 기계화시공2
- 7차시
- 콘크리트공사
- 8차시
- 수목식재공사
- 9차시
- 자연석 및 조적공사
- 10차시
- 조경포장공사
- 11차시
- 조경시공구조1
- 12차시
- 조경시공구조2
- 13차시
- 북서울 꿈의 숲 : 시공
- 14차시
- 서서울 호수공원 : 시공1
- 15차시
- 서서울 호수공원 : 시공2
- 16차시
- 아파트 조경공사의 대상 및 특성
- 17차시
- 주상복합단지 시공사례
- 18차시
- 고급 APT 단지 시공사례
- 19차시
- 조경 특화 시공사례
- 20차시
- 일본 APT 시공사례
- 21차시
- 최근 가든 테마형 단지 시공사례
- 22차시
- 생태복원 시공 방법론
- 23차시
- 복원 후 평가와 유지 및 관리 방향
- 24차시
- 생태기반환경, 생물상, 시설물 관리
- 25차시
- 지형 및 수환경 복원 사례
- 26차시
- 식생 복원 사례
- 27차시
- 야생동물 서식처 복원 사례
- 28차시
- 대체 서식처 복원 사례
- 29차시
- 생태통로와 폐도로 복원 사례
- 30차시
- 현장조사 및 정원디자인
- 31차시
- 정원 시공하기1
- 32차시
- 정원 시공하기2
- 33차시
- 디자인부터 시공까지 ; 주택 테라스 가든
- 34차시
- 디자인부터 시공까지 ; 소규모 테라스 가든
- 35차시
- 아이들의 정원1
- 36차시
- 아이들의 정원2
- 37차시
- 삶 속의 정원1
- 38차시
- 삶 속의 정원2
- 39차시
- 일터 및 장식적인 정원
- 40차시
- 옥상녹화 시공관리 개요
- 41차시
- 옥상녹화 시공 ; 방수/방근, 배수, 시설물
- 42차시
- 옥상녹화 시공 ; 식생기반층 및 식물
- 43차시
- 무관리형 옥상녹화
- 44차시
- 입면녹화 시공관리
- 45차시
- 옥상녹화 국내사례
- 46차시
- 옥상녹화 해외사례1
- 47차시
- 옥상녹화 해외사례2
- 48차시
- 입면녹화 국내사례
- 49차시
- 입면녹화 해외사례
- 50차시
- 생태하천복원 사후관리
- 51차시
- 하천복원 공사 및 유지관리 실무
- 52차시
- 자연형 하천공법
- 53차시
- 자연형(생태)하천 조성 후 유지관리
- 54차시
- 황구지천 하천환경 모니터링사례1
- 55차시
- 황구지천 하천환경 모니터링사례2
- 56차시
- 하천숲 사례 및 조경기법
- 57차시
- 하천의 생태환경 조사사례
- 58차시
- 터잡기와 조원과정
- 59차시
- 공간배치기법
- 60차시
- 경관연출기법
- 61차시
- 재식기법
- 62차시
- 수경 및 배수기법
- 63차시
- 전통공간의 보전과 복원
- 64차시
- 가산과 석축기법
- 65차시
- 가림시설과 포장시설
- 66차시
- 점경물 설치
- 67차시
- 수경 및 배수시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