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정원도시] Garden in a city에서 City in a Garden으로...

도시재생과 생명정원도시 - 1
라펜트l기사입력2018-01-11

 

도시재생과 생명정원도시
제1주제_싱가포르, City in a Garden 


Garden in a City에서 City in a Garden으로...



글·사진_박미옥 오피니언리더
Urban Gardener, 나사렛대학교 교수



도시재생이 뜨겁다.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가지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필자는 도시재생의 완성은 사람들의 삶의 질이며 이는 ICT기반의 최첨단 도시라는 물리적 구조와 더불어 문화와 생태가 어우러질 때 비로소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 정원문화가 있다. 여기서 정원은 주택정원과 같은 좁은 의미의 정원을 넘어 일단의 지구와 도시 또는 그 이상의 공간과 조성 기법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정원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를 구현한 도시를 생명정원도시(Bio Garden City)라고 부르고자 한다.

정원, 원자연 (박미옥, 2017)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원시 그대로의 자연을 인간의 정원에 빗대어 신의 정원으로 비유하곤 한다. 필자는 정원을 원시자연생태계를 담고 있으면서도 예술적 장식과 복원 재생된 자연을 포함한 인류의 가장 고도의 행위인 문화적 행위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이는 야생 그대로의 자연(제1의 자연, 야생원), 문화적 행위로서의 농경지(제2의 자연, 실용원), 문화적 행위로서의 인공자연 곧 예술적 의미의 정원(제3의 자연, 장식원)을 포함하면서도 생태복원, 도시재생 등 자연성을 회복하는 현대의 정원(제4의 자연, 재생원) 및 인공조형물과 기반(0의 자연, 무자연) 등을 모두 아우르는 원자연으로서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즉, 정원은 곧 원자연(Zero Nature)의 또 다른 표현이며, 원시자연생태계를 담고 있으면서도 예술적 장식과 복원 재생된 자연을 포함한 인류의 가장 고도의 행위인 문화적 행위의 결과인 것이다.


Garden in a City, City in a Garden
도시재생의 완성, 생명정원도시. 
필자는 몇 차례에 걸쳐 도시재생이라는 주제와 정원문화라는 주제로 우리보다 조금 먼저 시작한 나라들을 방문하여 주목할 만한 사례들을 찾아다닌 바 있다. 이미 우리나라의 수준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확인하곤 하는데, 그들이 고민했던 부분을 살펴보는 것도 우리의 도시재생이나 생명정원도시를 발전시키는데 참고가 될 만한 사례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하며, 그 첫째 순서로 이번 글에서는 싱가포르의 생명정원도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싱가포르 관문 창이공항

14C 무렵, 수마트라 왕자가 긴 항해를 마치고 알려지지 않은 땅에 도착했을 때 그들을 맞이한 낯선 동물이 있었다. 인어의 몸에 얼굴은 사자인 이 신비한 동물, 멀라이언(merlion)이 있는 이 땅을 ’싱가푸라(Singapura)’ 즉 ‘사자의 도시’라고 부르면서 싱가포르 역사는 시작되었고 멀라이언은 지금도 싱가포르의 상징이 되고 있다. 1819년 영국의 스탬포드 래플스가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를 견제하기 위해 싱가포르를 사들여  자유무역항으로  건설하면서 말레이반도 끝의 조그맣고 한적한 어촌은 오늘날의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무역항으로 성장하였다.


싱가포르 국기와 위치


싱가포르 상징 멀라이언

1963년 6월 16일, 싱가포르의 Garden City program이 조심스럽게 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전략은 건물 등 도시화지역에 식재, 가로수 및 가로녹지 조성, 자연보호구 – 핵심보호구역 확대, 시민을 위한 녹지 다양성 확충, 법제정비 / 공원 및 수목법, 식생피복도 증진 등으로서 글자 그대로 녹색도시로서의 양적 질적 증진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City in a Garden 싱가포르 (자료 : 싱가포르 국립공원국)

그리고 50년이 지난 지금, 21세기 싱가포르는 이제 Garden City를 넘어 정원 속 도시(City in a Garden)로의 진화를 추구하고 있다. 2030년에 이르면 85%의 싱가포르 시민들이 도보로 10~15분 거리에서 공원녹지 서비스 혜택을 받게 될 것이며, 80%의 시민들은 MRT에서 10분 이내 거리에 살게 될 것이다. 저류지는 900ha로 증가하고 100㎞에 이르는 물길이 조성될 것이며, 현재 200㎞인 공원네트워크는 36㎞로 확대될 것이다.

싱가포르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에 의하면, 2030년을 목표로 세계 수준의 정원(world-class gardens) 조성, 도시공원 활력 증진과 거리풍경 활성화, 도시공간 녹화 및 레크리에이션 증진,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도시환경 조성, 정원산업 활성화, 지역사회 참여와 의식 고취 등을 추구한다.


싱가포르 보타닉가든


가든스 바이더 베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세계적 수준의 정원은 Botanic Gardens, Gardens by the Bay 등으로 대표된다. Botanic Garden이 전형적인 도심 생태계로서의 식물원이라고 한다면 Gardens by the Bay는 첨단 ICT기술과 기후변화, 자원재생 등을 담은 미래형 정원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공원 활력 증진과 거리풍경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원 확충, 자연 숲길 및 생물다양성 증진, 공공 인프라 녹화 등의 전략, 도시공간 녹화 및 레크리에이션 증진을 위한 공원녹지 연계체계 및 네트워크 구축, 입체적 선형공원 조성,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토착종다양성을 풍부하게 하고 멸종위기종 레드데이터 발간 등의 전략이 있다. 아울러 도시경관을 개선하고 정원산업 활성화를 위해 도시 녹지 및 생태계 센터 등과 같은 민관협력기구를 통해 주민들이 경관개선과 정원산업 참여를 유도하는 주민참여형 산업 활성화 전략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민관학이 협력하여 녹색이 풍부한 싱가포르를 함께 창출할 수 있는 주민참여 커뮤니티를 구축한다.


정원문화는 곧 일상생활이다










하워드의 ‘미래의 정원도시(Garden Cities of To-morrow)’로 대표되는 정원도시 운동이 지금까지도 도시계획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방법론에서는 이미 상당부분 변질되어 이상향으로서의 정원도시가 아닌 물리적 구조와 기능 중심의 도시, 베드타운 등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지금, 정원도시로 돌아가기 위한 노력들이 시작되었으며, 뉴타운과 생태도시와 같은 다양한 이념에 정원도시 본래의 원칙으로 돌아가자는 주장들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그동안 우리보다 좀 더 앞서 도시재생을 추진한 나라들의 사례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생명정원도시 이념 (박미옥, 2017)

앞에서 제기한 바와 같이 도시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은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고 있는데 크게는 광역도시권에서 작게는 지구단위에 이르기까지 도시와 단지 수준에서 도시인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래의 도시는 정원도시(Garden city)에서 정원 안의 도시(City in a Garden)로 진화되고 있으며, 이를 생명정원도시 (Bio Garden City)라고 부르고자 한다.


연재를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어반가드너 나사렛대학교 박미옥 교수 인사드립니다. 무술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난 해 남미의 브라질, 아르헨티나, 페루 3국의 생태문화에 대해 소개한 바 있는데 부족한 글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격려해 주셔서 또다시 무모한 도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도시재생의 완성은 곧 정원문화를 담은 생명정원도시 구현이라는 제 나름대로의 철학과 소신을 담아 국내외 사례를 통해 하나씩 짚어보고자 합니다. 처음 시도되는 것이라 매우 조심스럽기도 합니다만 독자 여러분들의 격려와 애정 어린 충고에 힘입어 몇 가지 생각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그 첫 순서로 ‘city in a garden’으로 널리 알려진 싱가포르의 생명정원도시 정책과 실천과제 등의 개략적 흐름을 소개하였으며, 앞으로 총 16주에 걸쳐 어반가드너의 시각에서 싱가포르의 도시재생과 생명정원도시 전략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구분

내  용

1

Garden in the City에서 City in the Garden으로...

2

간척지를 미래 정원도시로, Marina Bay

3

Gardens by the Bay 개요

4

Sustainability in the Gardens

5

구름으로 뒤덮힌 신비한 숲 Cloud Forest

6

과학과 자연의 만남 Flower Dome

7

Super Tree / OCBC Skyway

8

Heritage Garden, 식물들의 세계.... 그리고 Sky 전망대

9

Jurong Bird Park

10

Animal Park / Night Safari / River Safari

11

Esplanade / Merlion / Merlion Walk

12

Butterfly Park / Insect Kingdom

13

Images of Singapore / Underwater World / Songs of the Sea

14

Botanic Gardens

15

City in the Garden, 6 pillars

16

Bio Garden City를 위하여 



글·사진_박미옥 교수 · 나사렛대학교
다른기사 보기
ecoflower@kornu.ac.kr

기획특집·연재기사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