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미래포럼] ‘나 혼자 사는’ 시대의 도시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 ‘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5‘나 혼자 사는’ 시대의 도시배정한 서울대 교수혼자 산다는 것이 그리 특별하지 않은 시대다. MBC의 인기 예능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에서 ..라펜트2015-10-23
폭염에게서 도시를 구하라 ‘대구 vs 쿠알라룸푸르’
7월에 들어서며 푹푹찌는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한반도가 고온을 기록하고 있을 때마다 관심이 집중되는 도시가 있다. 여름철 폭염, 무더위와 관련된 뉴스에 가장 먼저 오르내리는 대구다. 대구는 지형적으로 ..라펜트2014-07-23
공원Ⅱ_ 장소가 되는 공원, 성격있는 “공원”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02 공원 [ 02 공원(public park) ] 장소가 되는 공원, 성격있는 “공원”   안명준 조경비평가   공원Ⅱ_ 장소가 되는 공원, 성격있는 “공원”..라펜트2014-05-30
자연과 철학을 담은 정원, 한국의 별서
연재에 들어가며. 한국의 별서는 선비들이 자연을 누리며 철학을 향유했던 정원이다. 도시인들에게 마음의 여유와 정서가 메말라가고 있는 요즘, 별서는 우리의 안식처로서,건강과 지식을 재충전하는 지식..라펜트2013-12-20
밤이 아름다운 도시를 걷고 싶다.
21세기 들어 도시 야간경관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사회가 다양해지고 지구촌이 24시간 깨어있기 때문에 시민들의 야간 활동이 늘어나게 됐다. 이로 인하여 야간 경관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라펜트2013-12-03
강변따라 도시역사와 자연을 보고싶다
강을 따라 배를 타면서 보게 되는 경관의 변화는 해당도시의 정주 역사를 대변해주는 경우가 많다. 도심지 강변구간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고건축물과 교량경관, 그리고 도시외곽으로 가면서 전개되는 숲이나 구..라펜트2013-11-05
13전통_빌려온 미래, 언제나 지금인 ‘전통’(下)
우리시대의 전통: 정원문화(가꾸기 문화, 돌보기 문화)와 건축문화(만들기 문화)의 충돌   에드워드 쉴즈(Edward Shils, 미국의 사회학자)는 “전통, 곧 전수된 것들은 물리적 실체, 모든 종류의 사물..라펜트2013-10-25
13전통_빌려온 미래, 언제나 지금인 ‘전통’(上)
한때 우리는 전통하면 고루한 것, 낡고 오래된 것, 나아가 미개한 것이라고 몰아세우며 새 것과 눈앞의 것에만 집중하던 시절이 있었다. 오랜 것일수록 지겹다는 편견이 만연했고, 쉽게 지우고 새로 쓰기를 두..라펜트2013-10-11
12환경_ 어울려 즐거운 ‘환경’: 분절없는 삶터(上)
우리는 흔히 ‘환경’이 그 개념에서부터 인간중심적이라는 점을 잊고 산다. 살펴보면 ‘친환경’이라는 말은 ‘친인간’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인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삶터를 건강하게 바꾸고 싶은 모두의 바람이 ..라펜트2013-09-13
물이 흐르는 가로를 걷고 싶다
인공화된 도시에서 나무와 물은 환경친화적 도시를 만드는데 있어 필수적 요소이다. 이중에도 물은 자유로운 형상과 동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어 도시환경을 활기차게 만드는 동시에 흥미를 유발시키는 매력적 ..라펜트2013-09-04
09도시_ 경관 ‘도시’: 포스트시대의 풍경(下)
정원도시; 선구적 도시 놀이(City Playing)   크리스토퍼 알렉산더는 우리 도시 일상의 단면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당신의 친구들은 옆집에 사는 것이 아니라 아주 먼 곳에 있다.” 이것은 우리 도시의..라펜트2013-08-02
06공모_디자인 경쟁시대: 신사들의 잔치 ‘공모’(下)
두 경쟁의 입장: 문화적 경쟁과 본능적 경쟁   생각해보면 경쟁은 두 가지의 입장을 가진다. 하나는 생물학적 본능의 차원에서이고, 다른 하나는 문화의 차원에서이다. 경쟁이 고민되는 우리시대에 이 ..라펜트2013-05-10
06공모_디자인 경쟁시대: 신사들의 잔치 ‘공모’(上)
공모(公募)란 간단히 ‘공개적인 모집 또는 모음’을 의미한다. 공모는 크게 일반과 전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전문 분야에서 공모는 대체로 조건에 얼마나 잘 부합하는지 경쟁과 평가를 통해 우열을 정한..라펜트2013-05-03
[조경수]사발의 쌀밥을 닮은 이팝나무
벚나무, 개나리 그리고 진달래 등은 그동안 우리가 많이 보아왔던 가로수 수종이지만,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와 송파구 로데오거리, 청계천 모전교와 고산자교 사이의 이팝나무도 눈에 띤다.   대구..라펜트2013-04-27
[조경수]기침에 좋은 모과나무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키고, 과일전 망신은 모과가 시킨다’는 말이 있는가 하면, 못생긴 사람의 얼굴을‘모과같다’고 빗대어 표현하기도 한다. 이 말들은 제멋대로 울퉁불퉁하게 생긴 모과의 모양 때문에 ..라펜트2013-03-27
05경관_ ‘그리드락 쏘싸이어티’: 카오스모제의 ‘경관’(下)
매체가 된 경관, 도시경관의 그리드락   무엇보다도 경관은 땅의 개념이란 점을 기억하자. 그리고 주인공들의 시대, ‘미적인 것’의 시대가 이야기를 소환하고 있음도 기억하자. 그렇다면 우리시대 경관..라펜트2013-03-22
05경관_ ‘그리드락 쏘싸이어티’: 카오스모제의 ‘경관’(上)
약방의 감초처럼 경관이 여기저기에서 목격된다. 그런데 우리는 경관에 대해서 각자 너무 잘 알고 있는 시대를 지나고 있는 것 같다. 모두가 같은 어휘를 사용하지만 모두가 다르게 의미 부여하는 것을 쉽게 목..라펜트2013-03-15
04풍경_ ‘전체에 대한 통찰’: 당신과 나만을 위한 “풍..
‘치는 시와 찍는 그림’ 시대를 위한 풍경 풍경이 밖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는 이유를 찬찬히 곱씹어 보면 또 다른 통찰이 자연과 풍경 사이에서 펼쳐질 것이지만, 이제 우리 도시와 일상의 관..라펜트2013-03-08
1 2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