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녹색시선] 조경에 대한 우화
조경에 대한 우화글_김영민(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개구리들은 우물 안에 살고 있었다. 개구리들은 늘 저들끼리 다닥다닥 붙어 앉아 우물 밖으로 보이는 하늘을 보고 꽥꽥거려왔다. 마지못해 먹어야하는 푸르죽..라펜트2018-03-20
[녹색시선] 조경의 나비효과
조경의 나비효과글_김선일(LH 도시경관단 공간환경부 부장)어느새 봄이다. 자연은 어김없이 인간의 일에 무심한 듯 매화, 산수유, 진달래 등이 꽃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얼마 전 매일경제에서 ‘[책과 미래] ..라펜트2018-03-16
[녹색시선] 100개의 주차공간 위에 100개의 녹지
100개의 주차공간 위에 100개의 녹지-서울에 바란다-1글_안영애(안스디자인 대표)런던에 관한 몇 주 전 기사를 읽었는데 사디크 칸 런던시장의 주도로 런던을 세계 최초로 ‘국립공원화’한다는 기사를 보았다. 한 ..라펜트2018-03-13
체현의 “공간”과 감성적 삶터 - 2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11 공간 Ⅱ체현의 “공간”과 감성적 삶터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조경비평가공간Ⅱ:  체현의 “공간”과 감성..라펜트2018-03-11
[녹색시선] 우리에게 찾아갈 ‘작은 숲’이 있다면...
우리에게 찾아갈 ‘작은 숲’이 있다면...글_진승범 대표(이우환경디자인(주))무슨 내용인지도 모르고 포레스트가 들어간 제목만 보고 영화를 보았다. 이게 조경하는 사람의 숙명인지 직업병(?)인지 알쏭달쏭한 마음..라펜트2018-03-09
[녹색시선] 조경진흥법 탄생기
조경진흥법 탄생기글_안승홍(한경대 조경학과 교수) 조경진흥법이 2015년 1월 6일 법률 제12988호로 제정되고 2016년 1월 7일 시행되었다. 이 법이 시행된 이후 1년에 2-3차례 기자로부터 문의전화를 받게 된..라펜트2018-03-02
[책 속으로] 야생동물의 흔적
야생동물의 흔적글_오정학 경기도시공사 과장(ohjhak@daum.net)야생동물 흔적 도감최태영·최현명 지음, 돌베개 펴냄(2007)겨울은 동물에게 힘든 시기이다. 혹한의 날씨와 굶주림, 나뭇잎이 떨어져 쉽게 노출..라펜트2018-03-02
[녹색시선] 과학적 조경디자인을 주장한 조경가 가렛 에..
조경의 오늘을 만드신 분들(4):과학적 조경디자인을 주장한 조경가가렛 에크보(Garrett Eckbo)글_김수봉(계명대학교 공과대학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교수)가렛 에크보 (Garrett ​Eckbo, 1910-2000)는 샌프란시스..라펜트2018-02-28
[녹색시선] 당신은 조경을 사랑하십니까?
당신은 조경을 사랑하십니까?글_이애란(청주대 조경도시계획전공 교수)올해의 칼럼을 맡기로 약속한 후 새해의 시작인 설날을 보내는 기간에 첫 글을 쓰게 되었다. 항상 특강이나 글을 부탁받을 때면 주제를 주실 ..라펜트2018-02-22
[녹색시선] 예방의학의 시작: 도시공원
예방의학의 시작: 도시공원글_변재상(신구대 환경조경과 교수)최근 시청자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고 있는 방송 아이템은 단연 ‘먹방’과 ‘건방’이다. 먹는 방송은 혼밥, 혼술 등과 같은 1인 가구 증가라는 시대적..라펜트2018-02-20
[책 속으로] 과연 녹색성장은 허구인가?
과연 녹색성장은 허구인가?글_오정학 경기도시공사 과장(ohjhak@daum.net)성장으로부터의 해방니코 페히 지음, 고정희 옮김, 나무도시 펴냄(2015)패시브 하우스는 겨울에 따뜻하다. 최대한 받아들이는 햇빛과..라펜트2018-02-14
[녹색시선] 미집행 도시공원 일몰제를 기회로 활용하는 ..
미집행 도시공원 일몰제를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글_오충현(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20년 이상 장기 미집행된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일몰제가 2020년 7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도로, 공원, 철도 등..라펜트2018-02-13
체현의 “공간”과 감성적 삶터 - 1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11 공간 Ⅰ체현의 “공간”과 감성적 삶터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조경비평가공간Ⅰ:  공간 개념의 혼돈과 소통을..라펜트2018-02-09
[녹색시선] 조경기사 자격증 시험과 관련하여...
조경기사 자격증 시험과 관련하여...글_이재욱(대한환경조경단체총연합 외부법제대응위원장                              &nb..라펜트2018-02-01
[녹색시선] 잡초의 재발견과 새로운 도전
잡초의 재발견과 새로운 도전글_조동길(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대표,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겸임교수)2014년 인천 송도에서 열렸던 URBIO의 한 세션으로 도시 생물다양성 포럼이 열렸다. 이 주제 발표 중에서 필..라펜트2018-01-31
[녹색시선] 2018 세렌디피티 노멀
2018 세렌디피티 노멀글_조세환(한양대 도시대학원 도시경관생태조경학과 교수                                   ..라펜트2018-01-10
[녹색시선] 우리들의 조경이야기
이 글은 ‘조경사회보( 가을호)’에 실린 글을 다시 정리한 것입니다.우리들의 조경이야기글_주신하 교수(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학과)80년대 학번 vs 2010년대 학번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2018년은 개인적으로..라펜트2018-01-04
[녹색시선] 일본 사도 따오기와 공생하는 사토야마
일본 사도 따오기와 공생하는 사토야마글_백승석 과장(한국농어촌공사)2017년 12월, FAO(국제식량농업기구)로부터 희소식이 들려왔다. 하동 전통차 농업시스템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소식이다. 우..라펜트2017-12-22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