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녹색시선] ‘녹색인프라 구축과 국가도시공원 조성’ 국..
‘녹색인프라 구축과 국가도시공원 조성’ 국가정책 제안글_김승환 상임대표(동아대학교 명예교수,국가도시공원전국민관네트워크 상임대표)각 정당의 대통령후보에게 제안합니다.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건강과 ..라펜트2017-04-11
[녹색시선] 일상 속의 시간척도 - 식물의 속도와 기계의..
일상 속의 시간척도 – 식물의 속도와 기계의 속도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빨리빨리’의 일상 풍경‘빨리빨리’는 한국인 혹은 한국문화를 드러내는 말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 중 하나이다. 옥스..라펜트2017-04-04
[녹색시선] 부산시민공원을 가야만 하는 이유
부산시민공원을 가야만 하는 이유글_조동길 대표(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지난 2월에 부산시민공원을 찾았다. 큰 아들이 가자고 한 것이다. 초4학년이 공원을 왜 가는가 했더니 포켓몬고 게임을 위한 것이었다. 포..라펜트2017-03-24
[미래포럼] 기후변화시대의 새로운 도전과 주류화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22기후변화시대의 새로운 도전과 주류화이동근 서울대학교 교수우리는 어떠한 미래의 모습을 그리고 있을까? 또 미래에 생길 직업과 없어질 직..라펜트2017-03-23
[녹색시선] 단순화(Simplification)
단순화(Simplification)글_주명돈 전무이사((주)한국종합기술)우리는 일상의 업무를 수행하면서 “지금 하고 있는 일들이 정말 효율적이고 합리적일까!”, “과연 우리가 기대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라펜트2017-03-22
세운상가 공공공간 국제지명현상설계 공모
서울시는 세운상가군(삼풍상가~남산순환로 구간)을 도심 산업 및 남북보행축의 중심공간이자 새로운 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조성하여 세운상가군 주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전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라펜트2017-03-19
[녹색시선] 지방 자치와 분권 그리고 조경
지방 자치와 분권 그리고 조경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오천년 역사에서 대통령이 탄핵받은 최초의 기록을 만든 ‘3월 10일 11시 21분’은 대한민국에서 아주 뜻 깊은 역사적 시각으로 남게 되..라펜트2017-03-17
[녹색시선] 생물다양성을 위한 자연환경보전 전문가의 ..
생물다양성을 위한 자연환경보전 전문가의 역할글_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오래전 영화 킹콩은 마운틴고릴라와 코모도드래곤과 같은 야생생물과 원시생태계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의..라펜트2017-03-15
[녹색시선] 제4차산업혁명과 조경산업의 진화
제4차산업혁명과 조경산업의 진화글_조세환(한양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전공 교수,(사)한국조경학회 고문)4차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각 산업분야에서 업종이나 일자리 도태 또는 진화의 이야기가 결코 예사롭..라펜트2017-02-28
[미래포럼] 조경의 시대상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21조경의 시대상민성훈 수원대학교 교수모든 분야가 그렇듯이 조경도 다차원적으로 정의된다. 조경이라는 단어는 산업과 학문, 문화적 현상에 ..라펜트2017-02-22
[녹색시선] 청정한 자연환경을 만드는 생태계의 보고 ″..
청정한 자연환경을 만드는 생태계의 보고 “담양 대나무밭”글_백승석 과장(한국농어촌공사)2014년 국가중요농업유산 제4호로 지정된 담양 대나무밭의 면적은 36.2ha로 담양군 담양읍 삼다리 일원에 분포하고 있다.&..라펜트2017-02-15
[녹색시선] 한국인의 관계지향의식과 생태
한국인의 관계지향의식과 생태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우리는 늘 주변과 이런저런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다. 주변이란 자연일수도 있고 인간 혹은 사회일수도 있다. 인간을 ‘환경의 동물’이라고 할..라펜트2017-02-09
[녹색시선] 전문가시스템과 조경산업
전문가시스템과 조경산업글_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얼마 전 인공지능 ‘알파고(AlphaGo)’가 인간의 바둑을 이긴 사실로 충격을 넘어 공포와 전율을 느끼게 했던 기억이 있다. 무궁무진한 변화와 창의..라펜트2017-02-07
[녹색시선] 조경 부흥 : 지금 조경은 위기인가, 기회인가
조경 부흥 : 지금 조경은 위기인가, 기회인가글_조동길 대표(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고려대 겸임교수)새해가 시작된 지도 벌써 한 달이 다 되었다. 시간은 갈수록 빨리 흘러만 가는 것 같다. 이 겨울이 지나면, ..라펜트2017-02-01
[녹색시선] 협치를 넘어 자치로
협치를 넘어 자치로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서울광화문앞거리를 매운 시민들의 열기는 한겨울의 매서운 추위와 눈바람 속에서도 식을 줄 모른다. 어린 아이들과 중고등학생들 그리고 어르신..라펜트2017-01-26
[녹색시선] 처음처럼
처음처럼글_주명돈 상무이사((주)한국종합기술)처음처럼가끔 세상을 살며 힘들고 괴롭거나 혹, 즐거울 때, 우리를 위로해주고 반겨주는 친숙한 이름, 듣기만 해도 감회가 새로운 이름.저번에도 술 이야기를 잠깐 ..라펜트2017-01-25
[미래포럼] 2017년의 한국 조경 에세이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202017년의 한국 조경 에세이 : 혼돈 속에서의 창의적 조경진화조세환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복잡한 세상 : 혼돈의 근원세상은 참 복잡하다. ..라펜트2017-01-18
[녹색시선] 제자와 소통하는 법 下
제자와 소통하는 법 下글_김수봉 교수(계명대 생태조경학전공)프로젝트 중심: 실사구시실사구시라 함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손으로 만져 보는 것과 같은 실험과 연구를 거쳐 아무도 부정할 수 없는 객관적 사실..라펜트2017-01-17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