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녹색시선] 경관을 만드는 조경(造景)
경관을 만드는 조경(造景)글_주신하 교수(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학과)2016년도 국토경관디자인대전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한 ‘역사와 문화를 담은 경의선숲길’조경(造景)은 경관을 만든다는 의미의 한..라펜트2016-06-30
[기고] 한중일 정원 비교연구는 왜 필요한가?
한중일 정원 비교연구는 왜 필요한가?글_박경자 (사)전통경관보전연구원 원장인접한 한국과 중국, 일본은 동일문화권으로 먼 옛날부터 넓은 한울타리 안에서 서로 다투면서도 공생해 왔다. 생활하는 방법 그..라펜트2016-06-29
[녹색시선] 전국의 광역시도마다 대규모공원 조성을 위..
전국의 광역시도마다 대규모공원 조성을 위하여글_김승환 상임대표(국가도시공원전국민관네트워크,         100만평공원범시민협의회 운영위원장)대규모공원이란 말 그대..라펜트2016-06-28
[녹색시선] 농어업유산의 가치
농어업유산의 가치글_백승석 과장(한국농어촌공사)FAO(세계연합식량농업기구)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는 세계적으로 귀중한 농어업유산의 발굴과 보전을 통하여 여기에 존재하는 농어업생물의 다양성을 보전함으로써..라펜트2016-06-23
[미래포럼] 옛 것의 현대적 의미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13옛 것의 현대적 의미 : 박제된 문화유적의 개방신경준 장원조경 대표(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운영위원우리나라에서 자랑할 만한 볼거리..라펜트2016-06-22
[녹색시선] 우리 시대 풍경 감수성과 조경가의 사명
우리 시대 풍경 감수성과 조경가의 사명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십 여 년 전 현상설계로 나온 선유도공원(당시 선유도정수장)에 대해 조사하다가 그 곳이 섬이 아니라 봉우리였다는 사실을 알고는 ..라펜트2016-06-21
[녹색시선] Big Think & No Silo
Big Think & No Silo글_주명돈 상무이사((주)한국종합기술)많은 사람들이 ‘60년대 공상과학영화를 보면서 이들의 손에 들린 작은 전화기가 현실이 되리라고는 생각도 못했을 것이다. 최소한 스티브 잡스(Steve..라펜트2016-06-16
[책 속으로] 가장 오래된 정원의 기록
가장 오래된 정원의 기록사쿠테이키다치바나노 도시쓰나 지음, 다케이 지로, 마크 킨 주해, 김승윤 옮김, 연암서가(2012)오정학 경기도시공사 과장(ohjhak@daum.net)정원 기록물로 중국에 원야(園冶, 1634)가 있다..라펜트2016-06-16
[녹색시선] 조경가(造景家)를 춤추게 하자!
조경가(造景家)를 춤추게 하자!글_진승범 대표(이우환경디자인(주))지난 5월 16일 영국에서 날아온 소식 하나가 문학계를 필두로 한 한국 문화예술계를 기쁨과 흥분으로 술렁이게 한 사건(?)이 있었다. 바로 우리..라펜트2016-06-14
서유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속으로!
옛사람들이 집을 짓고 정원을 조성하는 방법을 기록한 “서유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속으로!글_김홍렬 오피니언리더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과정 수료건축/조경/생태복원기사│궁궐길라잡이 종..라펜트2016-06-10
[녹색시선] 도시농업의 핵심 가치
도시농업의 핵심 가치글_송정섭 회장(정원문화포럼)올 봄 유난히 비가 자주 온다. 덕분에 지하수가 충분해 금년 농사도 가뭄걱정 안했으면 좋겠다. 계절은 슬슬 여름으로 치닫고 있다. 거리엔 이팝나무가 산엔 아..라펜트2016-06-09
[녹색시선] 조경의 ‘흥(興)’ : 생태로 버무려진 신명나..
새로운 도시건설 패러다임 - 생태 최적화(完)조경의 ‘흥(興)’ : 생태로 버무려진 신명나는 조경 한 판!글_김원현 팀장(노아솔루션연구소)얼마 전 이야기다. 오늘은 특별한 외부활동이 없어 조신(?)하게 업무를 보..라펜트2016-06-07
[녹색시선] 기후변화 vs.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vs. 생물다양성글_조동길 대표(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고려대 겸임교수)요즘 뉴스 중에 5월의 불볕더위가 이슈다. 7~8월에나 나올듯한 평균 기온이 때 이르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면, 기..라펜트2016-06-02
[녹색시선] 용산공원을 생각한다
용산공원을 생각한다글_백운해 전문위원(LH공사 동탄사업본부)어느새 2년이 넘는 세월이 훌쩍 지나갔다. 2013년 하반기, 필자는 용산미군기지사업본부 용산사업처장으로 근무하면서 용산공원에 관한 내용을 가까이..라펜트2016-05-31
[녹색시선] 초화류디자인
초화류디자인글_손관화 교수(연암대학교 화훼디자인계열 가드닝전공)봄이 되면 전국 각지에서 유채꽃, 매화, 산수유, 벚꽃, 철쭉, 장미 등 여러 봄꽃 축제가 열리고, 또 꽃박람회나 꽃나들이 축제가 펼쳐진다..라펜트2016-05-26
[녹색시선] 사람, 자연, 그리고 문화, 생태환경자원을 ..
사람, 자연, 그리고 문화, 생태환경자원을 지키기 위한 사람들글_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USFWS의 편집장이며 ‘침묵의 봄(Silent Spring)'의 저자인 Rachel Carson 여사는 “이 나라의 야생구역을 여..라펜트2016-05-22
[녹색시선] 도시공원의 재생은 도심의 재생
도시공원의 재생은 도심의 재생글_김수봉 교수(계명대 생태조경학전공)달성공원을 둘러싸고 있는 대구의 두 개의 자치구인 서구와 중구는 최근 잇따라 달성토성주변의 도심재생에 관한 여러 가지 사업을 시행하고,..라펜트2016-05-19
[미래포럼] 조경가의 역할을 다시 묻다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12우리시대 아파트 풍경 유감 : 더불어 사는 삶터의 진정한 회복을 위하여서영애 기술사사무소 이수 소장(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운..라펜트2016-05-17
21 22 23 24 25 26 27 28 29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