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200억 투입해 도시바람길 숲 조성한다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도 실시계획
라펜트l김지혜 기자l기사입력2018-12-20


블루그린네트워크(도시 바람길숲) 구상도 / 부산시 제공


부산시(시장 오거돈)가 시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미세먼지를 줄이고 폭염 등 도시열섬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생활SOC 신규사업으로 추진하는 산림청 '도시바람길숲' 공모에 부산의 지형특성을 살려 바다와 산, 하천을 연결하는 ‘블루그린네트워크’ 계획이 최종 선정되어 3년간 200억 원(국비 100억, 시비 100억)을 투입하여 조성한다고 밝혔다. 


또한 미세먼지 차단숲 공모에 사상구 사상공단 녹화계획이 선정되어 사업비 10억 원(국비 5억, 시비 5억)이 투입 될 전망이다. 


부산시는 기본계획 수립 및 실시설계, 공청회 등을 거쳐 2020년 사업에 착수하여 2021년 완공을 목표로 도시외곽 산림의 생태적 관리와 함께 도심 내 가로숲길, 하천숲길, 학교숲·공원숲 등 거점녹지 조성을 통해 다양한 테마의 바람길숲을 조성할 계획이며, 앞서 내년에 사상공단 지역에는 차단숲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민선 7기 들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시숲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이번 바람길숲 및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을 통한 블루그린네트워크 사업이 산림청 공모에 최종 선정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부산의 특성을 살린 바다와 산, 하천을 녹지로 연결하여 미세먼지 걱정 없는 시민이 행복한 숲의 도시 부산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도시바람길숲’이란 환경보전형 도시계획 방안으로 도시숲을 확충하고 외곽 산림을 생태적으로 관리해 도시 내외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바람길을 확보하고, 도시 외곽의 찬바람을 도심 내로 끌어들여 대기 정체를 해소하고 열섬현상, 미세먼지를 저감․분산하는 기능을 갖춘 숲을 뜻한다. 


도심지의 공기는 낮에 태양열을 받으면 올라가게 되는데 주변 숲에서 만들어진 시원한 바람이 그 빈 공간을 메우는 것이 바람길 조성의 핵심이다. 이는 숲 지붕층의 그늘효과, 나뭇잎의 증산작용 그리고 하층과 벽면숲에 의한 반사열 저감 효과 덕분이며, 미세하고 복잡한 표면을 가진 나뭇잎이 미세먼지를 흡착, 흡수하고 가지와 나무줄기가 침강하는 미세먼지를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_ 김지혜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kimj611@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