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올해 골재수급전망 ‘양호’

‘2016년 골재수급계획’ 수립
라펜트l신혜정 기자l기사입력2016-03-03
경상북도는 전년도 골재수급을 분석한 결과 올해에도 골재수급전망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도는 매년 골재수급동향을 예측하여 지역간 골재운송비 격차를 줄이고 골재품귀현상 예방 등 골재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2016년 골재수급계획’을 수립했다. 

올해 골재수요량은 지역총생산에서 건설투자 비중과 건설경기 동향을 고려해 경북지역 건설투자액(14조7580억원:2016년 전망), 레미콘 출하량, 골재공급실적, 레미콘 의존도 등을 종합한 16,927천㎥로 추정하고 있다.

2016년도 골재공급계획량은 골재수요 추정치(16,927천㎥) 대비 4.2% 많은 17,638천㎥(총생산21,438천㎥)로서 허가공급(11,889천㎥), 신고공급(9,549천㎥) 등으로 조정·계획했다.

지난해 골재공급실적은 골재수요(16,864천㎥)의 14,735천㎥(총생산18,785천㎥)로서 허가공급(10,666천㎥) 및 신고공급(8,119천㎥), 타 시도 반출(-4,050천㎥)물량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2,129천㎥는 순환골재 등으로 공급했다. 

지난해 골재수급 동향은 4대강 사업종료이후 골재채취가 제한되고 낙동강 준설토 물량도 소진됐으나, 각종 건설공사현장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한 골재 등을 공급하여 대체적으로 안정적이었다.

최대진 경상북도 지역균형건설국장은 “골재는 건설공사의 기초재료로 쓰이는 만큼 지역별 부존량의 격차로 인한 영향(운송비 증가) 등으로 수급 불균형(골재파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매년 수급전망을 분석·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천연 골재원이 고갈되어 감에 따라 각종 건설공사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재활용자원(모래,자갈,암석,순환골재)이 사장되지 않고 활용될 수 있도록 시군 및 공공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골재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골재원 추가확보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_ 신혜정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