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가뭄, 저수지가 ‘탄소 농도’ 높인다?

포스텍 감종훈 교수팀, 농업용 저수지 저수량과 총 유기 탄소 시공간적 분석 성공
라펜트l주선영 기자l기사입력2024-05-16


2022년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탄소순환에 있어서 농업용 저수지의 역할 변식 모식도

 

극심한 가뭄 발생 시농업용 저수지에서 탄소가 배출돼 탄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이에 정부는 탄소 중립 시대에 맞는 수자원 정책을 내놓을 필요가 보인다. 

 

포스텍은 환경공학부 감종훈 교수박사과정 이광훈 씨 연구팀이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과 수질 데이터를 분석해 극심한 가뭄이 수자원 관리 시스템에 미치는 수()문학적 영향을 분석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수자원 분야 국제 학술지인 ‘물 연구(Water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에 따르면최근 기후 위기로 인해 가뭄과 홍수 등 기상 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이에 따라 효과적인 수자원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재해가 물 순환과 지구의 탄소 순환에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델에서 증명됐지만관측데이터를 통해 정량적으로 이해하려는 연구 시도는 저수량과 수질의 수자원 빅데이터 부재로 제한적이었다.

 

모내기가 시작되는 봄철에는 논과 밭에 충분한 양의 물이 필요하다강수량이 매년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국내에 있는 3,000개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를 활용해 수자원을 관리하고 있다모내기 시기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을 감시하기 위해 농업용 저수지의 물 수위 데이터를 수집하고, 2020년 이후부터는 계절별 저수지 수질 데이터도 함께 수집하고 있다. 3,000개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들에서 관측되는 수자원 빅데이터는 물순환을 통한 탄소 순환 변화를 연구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농업용 저수지 수위와 수질 빅데이터의 차원을 축소하는 회전 주성분 분석(rota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1을 이용했다회전 주성분 분석이란 고차원 데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적은 수의 차원(주성분)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런 주성분을 회전시켜 변환하는 고급통계기법이다.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2,200개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에 보관된 저수량과 총 유기 탄소(total organic carbon, 이하 TOC) 농도 관련 자료로해당 연구 기간 저수지의 저수량은 289~360mt(106t), TOC 농도는 3.54~4.60mg/L, TOC 부하는 1,165~1,492톤으로 각각 추정됐다.

 

첫 번째 회전 주성분 분석 결과, 2022년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가뭄으로 인해 수온이 증가하고 저수지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TOC 농도가 증가했다연구팀은 두 번째 분석에서도 중부 지역 저수지 수위 변화와 TOC 농도 변화 간 높은 상관성을 발견했다농업용 저수지 주변의 논밭 면적이 넓은 지역일수록 TOC 농도가 일부분 높아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이번 연구는 극심한 가뭄 발생시 탄소를 저장하던 농업용 저수지가 대기 중으로 탄소를 방출하는 공급원으로 만들 수 있음을 증명했다.

 

김종훈 포스텍 교수는 수자원 빅데이터와 고급 통계 기술을 이용해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물순환과 탄소순환의 정량적인 변화를 제시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까지 수량에만 집중되어 오던 수자원 정책에서 수량과 수질 모두를 고려한 탄소 중립 시대 맞춤형 환경 및 수자원 정책 변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해양-육상-대기 탄소순환시스템 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_ 주선영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rotei@naver.com
관련키워드l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