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가가 만든 ‘도시농사’입문서

[신간]『텃밭정원 도시미학:농사일로 가꾸는 도시, 정원일로 즐기는 일상』
라펜트l강진솔 기자l기사입력2012-06-16

 


미학자, 조경가, 건축가, 원예학자도시농사()를 통찰하다

도시를 사랑하고, 아름답게 만들고, 공부하는 모두를 위한 인문교양서

 

우리시대 도시농업은 농업생산보다는 여가 활동이라는 점에 더 방점이 있다. 그것을 텃밭정원을 통한 도시농사로 이해해야 한다는 이 책의 주장은 결국 농사(farming)와 정원일(gardening)의 본질을 지적한다는 점에서 탁월하다. 자연미, 참여미학, 생산경관, 전통텃밭, 정원문화, 지속가능성, 도시 공동체, 공공정원 등의 키워드는 우리시대 도시농사가 그려야 할 도시미학의 방향이기도 하다. 도시농사에 관한 의미 있는 인문서이자 입문서로 텃밭정원과 정원일의 도시적 가치를 다방면에서 보여주고 있어, 도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도시를 아름답게 만드는 사람들, 그리고 도시를 공부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충분히 권할 만하다.

- 조정송(서울대학교 명예교수·조경미학)

 

‘도시에서 하는 농사’, 생산경관으로서 텃밭정원

서울대출판문화원의 신간 『텃밭정원 도시미학: 농사일로 가꾸는 도시, 정원일로 즐기는 일상』은 김문환(서울대 미학과 명예교수), 배정한(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함성호(건축실험집단 EON 대표), 황주영(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연구원), 윤상준[() 아름지기 선임연구위원], 송정섭(농촌진흥청 도시농업연구팀장), 정명일(농촌진흥청 도시녹화연구실장), 임거영(와이즈만영재교육 원장), 김연금(조경작업소 울 소장), 안명준[()환경조경발전재단 사무국장] 등 제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전문가 열 명이 함께 만든 책이다.

 

지은이들의 견해에 따르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도시농업이라는 말은 현재 우리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농사 활동의 실체를 온전하게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도시농업은 산업 또는 직업을 뜻하고도시농사는 일을 뜻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농사 활동의 성격이 본업이기보다는 취미 또는 여가 활동 측면에 가깝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그 활동의 실체를 추적하여도시농사또는생산경관’(productive landscape)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농사(farming)와 정원일(gardening)의 본질을 지적하며 도시적 가치를 다방면에서 보여주는 이 책 『텃밭정원 도시미학: 농사일로 가꾸는 도시, 정원일로 즐기는 일상』은 그간 축적된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을 내딛기 시작한 도시농사가 꼭 견지해야 할 것들을 가리키고 있다.

 

미학적 측면에서 살펴보는 현대 도시농사

김문환은 자연과 자연미에 대한 인류의 태도 변화를 대표적 철학자들을 통해 살펴보면서 도시농사로 자연을 미의 대상으로 회복해나가는 과정과 그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우려 사항을 지적한다. 우리나라에서 도시농사를 인문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첫 시도라고 하는 점에서, 깊은 사유의 힘이 느껴지는 점에 자꾸만 곱씹어 읽게 되는 글이다.

 

배정한은 도시농사 활동을 생산경관의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도시농사를 정원술의 하나로 보고 정원문화 회복 현상으로 지적한다. 또한 생산경관을미적 장’(aesthetic field)으로서의 환경으로 재설정하고, ‘미적 경험으로의 참여를 강조하는 한편 이를 우리시대 조경에 주어진 과제로 꼽는다.

 

우리 전통 텃밭문화와 서구 도시농사의 과거

함성호와 황주영은 농사의 과거 모습을 살펴보았다. 함성호는 우리 전통의 생활모습에서, 황주영은 서양 미술에서 이를 추적한다.

함성호는 원림형 채마밭에서 도시농사의 과거 모습을 엿본다. 다산 정약용을 인용하여 원림형 채마밭의 정의와 원형을 지적하고, 사례를 통해 과거 사람이 꿈꾸던 삶터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도시농사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신적 가치를 무엇에 두는가에 있다면서 현재가 지향해야 할 길을 가리켜 보여준다.

 

황주영은 서양 미술에 재현된 배경 풍경을 통해 생산경관을 추적하였는데, 정원의 원형을 지적하고, 고대로부터 중세, 르네상스, 18~19세기 정원의 모습까지 회화에 나타난 생산경관을 통시적으로 살펴본다. 시대적으로, 사회 계급적으로 정원을 보는 눈이 어떠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국내외 도시농사의 모습

윤상준은 영국의 도시농사인얼로트먼트 가든’(allotment garden)을 통해 정원문화 속 농사 모습을 본격적으로 고찰한다. 우리 도시농업의 정책적 전개에 참고할 만한 사례로서 얼로트먼트의 시작과 전개, 흥망성쇠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영국의 탄탄한 정원문화의 배경 속에서 농사일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추적해볼 수 있다.

 

송정섭은 우리나라 도시농업의 현황에 집중한다. 도시농업의 정의에서 효과, 현황, 기술, 제도, 발전 방향 등가지 우리 도시농사의 전반적인 현황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우리 도시농사의 변화를 가늠해볼 수 있다.

 

정원일, 교육, 커뮤니티 회복을 매개하는 도시농사

정명일과 임거영, 김연금은 도시농사의 실천적 측면에서 각각 경제성, 스쿨가드닝, 커뮤니티라는 주제를 살펴보았다.

정명일은 도시농사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을 설명하고 그와 관련된 기술들을 소개한다. 특히 도시농사를 향한 우려들, 예를 들어 생산물의 가치, 안전성 등에 대하여 명쾌한 답을 제시해주는데, 그것은 바로 우리나라 도시농업이 정원일의 차원에서 접근되는 것이라고 한다.

 

임거영은 농사 활동의 교육적 측면을 살펴본다. 그중에서도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활발하지 않은 스쿨가드닝(school gardening)의 개념을 소개하는 한편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는 유사한 사례들을 보여준다.

 

김연금은 도시농사의 사회적 가능성에 집중하는데 특히 그중에서도 커뮤니티 측면에 대해 집중한다. 공적 측면과 사적 측면에서 도시농사의 공공재적 성격과 그에 따른 우려도 지적한다. 도시농사를 커뮤니티 자원으로 설정하고 펼쳐 보이는, 공유(commons) 회복이라는 화두는 묵직한 여운을 남긴다.

도시농사의 가드닝화, 도시 텃밭의 공공정원화

안명준은 도시농사의 조경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안명준에 따르면 정원일로 이해할 수 있는 도시농사란, 도시를 보는 시민들의 시각이 전환되면서 나타나는 정원 재설정의 과정이다. 이렇게 볼 때 도시농사와 조경의 교집합이 분명해지고, 도시농업이 도시에서 튼튼하게 뿌리 내릴 수 있다고 한다. 도시텃밭을 정원일과 조경의 측면에서 정원문화와 공공정원(public garden)의 성격으로 접근해야 하는 점도 강조한다.

 

지은이

김문환(서울대 명예교수) | 김연금(조경작업소 울 대표) | 배정한(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 송정섭(농업진흥청 도시농업연구팀장) | 안명준(()환경조경발전재단 사무국장) |윤상준(()아름지기의 선임연구위원) | 임거영(서울대학교 환경생태계획연구실) | 정명일(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녹화실장) | 함성호(건축실험집단 EON 대표) | 황주영(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과정 수료)

 

 

차례

[서문] 도시농사와 생산경관의 함수

일러두기

 

chapter 1

[도시농사와 인문학]

자연미와 환경미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

김문환

 

chapter 2

[도시농사와 조경미학]

생산의 경관, 참여의 미학

배정환

 

chapter 3

[도시농사와 전통정원]

오래된 미래, 도시농업

함성호

 

chapter 4

[서양 미술 속 도시농사]

서양 미술에 재현된 생산경관

황주영

 

chapter 5

[정원문화 속 생산경관]

영국 얼로트먼트를 통하여 본 도시농사와 정원문화

윤상준

 

chapter 6

[도시농업의 국내 전개]

우리나라 도시농업의 현황

송정섭

 

chapter 7

[도시농업의 경제성]

도시텃밭이 만드는 건강하고 경제적인 삶

정명일

 

chapter 8

[도시농사와 공교육]

도시농업의 지속가능성과 스쿨가드닝

임거영

 

chapter 9

[도시농사와 커뮤니티]

커뮤니티 자원으로서의 도시농사

김연금

 

chapter 10

[도시농사와 조경의 공진화]

텃밭정원 만들기의 도시적 가능성-생산공원과 공공정원의 재발견

안명준

 

지은이 소개

찾아보기



엮은이_ 안명준 | 펴낸곳_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발행일_ 2012년 6월 14일| 쪽수_ 276쪽| 가격_ 20,000원| 문의_ 02-889-4424

강진솔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lafent@lafent.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