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학과 안내]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재학생이 말하는 예비대학생 조경학과 안내
라펜트l노민욱 통신원l기사입력2011-02-21



1.
대학입학전 조경학과(또는 인접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 것이라고 생각했나?

솔직히 말하자면 나도 잘 몰랐다. 전통과 관계된 학교(한국전통문화학교)이기 때문에 조경은 두 번째로 생각을 했었다. 어린마음에 건축보다는 좀 특이한 조경을 선택하였고, 외부경관을 익스테리어(ex-terior)한다는 생각이 더 마음에 들었던 것 같다. 아마 조경을 고등학교때부터 잘 알고 오는 친구는 드물 것이라 생각한다.

 

2. 대학입학후 조경학과에서는 어떤 것들을 배웠는가?

수많은 것을 배운다. 전통조경을 전공으로 하는 학과이다 보니, 늘상 공부하는 것이 전통이었고, 조경이었다. 답사도 밥먹듯이 갔고, 옛 정취를 느끼고 공부하는 것이 낙이었다. 건축과는 달리 대지를 살펴보는 눈을 가지게 되는 것이 가장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학문도 마찬가지지만, 조경은 다른 학문과의 하이브리드(hybrid)를 추구한다. 덕분에 조경으로서 기본적인 적산공식부터 스케치, C.G(cad, illustration, photoshop, max, sketchup)기술을 습득할 뿐만 아니라, 다른분야의 교양서적들을 많이 접해보았다.

 

3. 우리 학과 동아리에선 어떤 것을 하는가?

현재 학과 유일하게 3년째 활동하는 설계동아리가 있다. 이름은 spring team이고, 나는 창단멤버로서 활동하였다. 강제성은 거의 없지만, 회비의 일환으로 벌금제도는 존재한다. 설계에 대한 자유로운 생각을 추구하며, 매주 한번씩 주제에 대한 스스로의 생각을 발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주제는 조경뿐만이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채택한다.

 

4. 졸업 후 진로는?

대학원을 조경학과에 가서 공부를 할 수도 있고, 조경설계사무실로 취직하여 실무를 배울수도 있다. 공기업, 공무원도 준비할 수 있다. 공기업은 LH공사, SH공사, 농어촌공사 등이 있다. 공무원은 9급으로 임업직, 조경직이 있고, 7급으로 문화재청에 지원할 수 있다. 문화재수리기술자를 취득하여 문화재조경업으로 취업하는 길도 있다.

 

 

5. 2011학번 새내기들에게 하고 싶은 말

본인의 경험상 대학 4년동안 난관없는 생활은 없을 것이다. 1학년때는 노느라 바쁘고, 2학년때는 조경 정체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게되고, 3학년때는 다른분야에 눈독을 들이기도 하였고, 4학년때는 밤샘작업에 힘들고, 실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의지를 잃지 말고, 어느순간부터 항상 바쁘게 지내보길 바란다. 그 어느 순간은 갑자기 찾아온다. 그리고 주어진 환경에 탓하기 전에 최선을 다해보라는 것이다. 그럼 어디까지가 최선일까. 답은 없다. 자신감과 능력은 보이지 않게 다가올 것이다. 그러면 어느새 훌쩍 성장해버린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노민욱 통신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rajasky@nate.com
관련키워드l조경학과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