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노트] ASLA 학생공모전 최우수작

강한솔 ‘Operative Platform’
라펜트l나창호 기자l기사입력2012-09-14


Operative Platform’은 기본적으로 식물을 생산하는 양묘장이라는 유형의 공간이 도시 조직과 직접적으로 결부되었을 때 어떤 새로운 기능과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생각으로부터 출발한 설계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필연적으로 1.양묘장 그 자체가 가진 논점2.주어진 대상지가 가진 화두, 두 가지의 시작점으로 이어집니다.

 

먼저, 양묘장은 도시가 요구하는 식물을 공급하는 데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광역적인 규모에서 작동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경제적으로 최적화된 방식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 대상지 Willets Point는 수문적 특성상 적지 않은 잠재성을 지니고 있지만 동시에 홍수와 폭풍해일 등에 취약한 지역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에 'Operative Platform'은 양묘장을 도시 내부로 침투시켜 지역 단위 수준에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식물이 가진 물에 대한 탄력적 반응력을 이용하여 유사시에 도시를 수재(水災)로부터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양묘장을 도시와 직접적으로 접붙이기 위해 기존 양묘장들의 유형들로부터 새로운 도시 구조의 조직을 추출해내었고, 여러 종류의 양묘장과 도시 공간들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으며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탐색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얻어진 여러 종류의 조합과 함께 대상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설계를 도출하였습니다.


설계안은 그것이 본래의 의도에 맞게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적인 요소들을 갖추고 있습니다.

조작된 물밑 지형과 몇 무리의 섬들은 물의 흐름을 의도된 방향으로 유도하며, 도시 전역을 얽어 매는 수리 시스템은 평상시에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함과 동시에 양묘장에 필요한 관개의 기능을 하면서도 유사시에는 도시에 가해질 타격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합니다. 여러 유형의 양묘장들은 식물을 생산하면서 주변의 녹지들과 연계하여 도시 전체의 녹지 체계를 형성하며, 플랫폼이라고 명명한 일련의 땅과 함께 마련된 일군의 건물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며 도시를 구성합니다.




설계는 우선 물밑 지형 조작 및 물에 인접한 땅을 만지는 작업부터 시작하며, 뒤이어 도로 및 수로 등 도시의 골격이 되는 구조들을 도시 전체에 삽입합니다.

 

다음, 양묘장과 녹지의 구성이 규정되고, 용도에 맞는 건물들이 배치되며, 마지막으로 대상지의 인접 지역까지도 플랫폼이 확장됩니다.

 

 'Operative Platform'은 고정된 하나의 상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의 요구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는 변형의 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그 변형의 가장 큰 기작은 전체 부지에서 양묘장이 차지하는 비율이며, 그 변수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 전체의 시나리오는 주변 맥락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모 가능한 설계를 제안합니다.



: 강한솔(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_ 나창호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ch_19@hanmail.net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