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용산공원 차질없이 추진
3단계로 조정, 조성일정 변경안해국토교통부는 24일 용산공원 조성사업을 차질없이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서 한국과 미국 정부가 전시작전통제권이 용산미군기지 내 한미연합사령부를 남겨두기로 결정함에 따라 용산공원 조성사업의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특히 한미연합사 잔류 결정으로 인해 국토부와 서울시의 '용산공원 조성계획'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SCM회의에서는 전시작전권 전환시까지 연합사 본부의 기능 발휘가 가능하도록 필수 적정 규모의 인원과 시설을 용산기지 내에 유지하기로 했다.
따라서 국토부는 그간 국방부와 협의를 거쳐 용산공원 조성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두 가지로 봤다.
우선 현재 한미연합사 본청 건물은 연합사의 잔류여부와 관계없이 보존대상 시설에 포함돼 있어 반환 이후에도 계속 용산공원에 존치할 예정이다. 특히 한미연합사 본부는 필수 적정규모로 잔류가 예상되므로 전체 공원조성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경미할 것으로 판단했다. 국방부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용산기지에 추가로 남게되는 이들 시설의 부지 면적이 약 24만㎡ 로 전체 조성면적의 10% 수준이다.
이로서 전체 미군 잔류면적은 메인포스트에 있는 ▲연합사 본부인 '화이트 하우스' ▲작전센터(CC서울) ▲미8군사령부 건물과 ▲미국 대사관 부지(7만9000㎡) ▲드래곤힐호텔(8만4000㎡) ▲헬기장(5만7000㎡) 등을 합치면 용산기지 부지(총 265만㎡)의 약 18% 가량이 잔류할 가능성이 크다.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은 용산공원 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당초 공원조성 일정을 변경하지 않겠다고 전했다. 다만 한미연합사 잔류지역은 여건변화를 감안하여 공원조성시기를 조정(당초 2단계 → 변경 3단계)하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1단계(2019~2021년), 2단계(2022~2024년), 3단계(2025~2027년)
- 글 _ 나창호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ch_1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