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민간자본 유치가 ‘관건’

국토부, ‘2014 도시재생 국제컨퍼런스’ 개최
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17-09-10


“도시재생사업, 특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과 같이 규모가 큰 사업일수록 민간자본의 유치가 관건”

국토교통부가 주최하는 ‘20147도시재생 국제컨퍼런스’가 지난 8일(금)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개최됐다.

이번 컨퍼런스는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의 모색’을 주제로 ▲도시재생과 경제 활성화 방안 ▲지역자산 활용과 사회적 경제 주체의 역할 두 가지 세션으로 진행됐다.

‘도시재생과 경제 활성화 방안’ 세션에서는 서울 창동·상계지역 사례와 미국 해리슨 알바니 코리더 계획에 대해 발제됐다. 이 사례들은 도시재생사업 유형 중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근린재생형’이 아닌 ‘경제기반형’이라는데 그 특징이 있었다.

특히 서울 창동·상계지역 사례는 수도권 동북부 320만의 일자리․문화의 新경제중심지로서의 발돋움을 목표로, 지식형 첨단산업단지, 복합개발단지, 동북권 창업센터 50+캠퍼스, 창업 및 문화산업단지, 복합유통센터, 서울아레나, 복합환승센터 등 창업 및 문화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대규모 도시재생사업이다.

창동·상계 사례 발제자인 진린 디에이그룹 상무이사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의 특성상 산업단지, 항만/공항, 철도/국도, 하천, 이전적지 등 사업위험성이 증가해 민간참여에 한계가 있다”고 한계점을 지적했다.

토론에 참석한 이명범 인토P&D 대표는 “지난 4년은 커뮤니티 재생이었다면 이를 담아주는 공간재생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해서는 민간자본의 유치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명범 대표는 민간자본 유치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 “공공기관에서 세부사항까지 결정해놓으면 중간에 변화요인이 생길 경우 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라 진단했다. 공공은 가이드라인의 역할만 하고 실제 사업집행은 민간에서 해야 수익구조 모델을 만들고, 협상을 통한 변화요인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장은 변화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처음부터 세밀한 부분까지 확정하는 것을 지양하고, 공공과 민간의 사업 구분이 명확해야 사업의 변수에 책임을 질 주체가 생긴다”고 덧붙였다.

보스톤 사례 발제자인 주정준 BPDA 어반디자이너는 “유연성이 중요하다. 조닝이나 정책, 가이드라인과 같은 틀을 대략적으로 제시하면 사업체가 틀 안에서 유연성을 가지고 사업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협상이 일어나고, 지역주민들은 협상에서 지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사례에 빗대어 조언했다.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대한 의견도 있었다.

이왕건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실증연구단 단장은 “공공에서 보행친화적인 공간, 광장 등 사람이 모일 수 있는 공간을 의도적으로 확장한다면 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다. 민간이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갑성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 또한 “민간기업이 참여하려면 모델을 만들어야 하며, 모델은 재생 후 부가가치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며 “정부는 민간이 수익을 벌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지원해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시재생사업은 협치가 핵심인 만큼 이에 대한 의견들도 함께 부각됐다.

다니엘 오 고려대 건축학부 교수는 “주민참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함께 만들어간다는 자세가 필요하며, 큰 프로젝트에서 공공의 역할은 관리자에서 중재자의 역할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주민과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의료기관이나 평생교육 등 공공에서 유치할 수 있는 내용에 지역 정체성을 덧입힌 공공공간을 위주로 설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덧붙였다.

이홍수 국토부 도시재생과 과장은 “공공성과 사업성의 균형을 맞추면서 시민들과 합의된 중장기계획을 만드는 것이 궁극적으로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타니지리 마코토 일본 서포즈디자인오피스 대표와 김수민 한국 로컬디자인무브먼트 대표가 지역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례를 발제했다.

마코토 대표는 “도시재생시 내방자의 수보다 숙박을 하며 체류하는 사람의 수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으며 “방문객뿐만 아니라 지역민들을 위한 내용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김수민 대표 또한 체류에 집중을 두었으며, “정부에서 평가지표 개발 등을 재생시켰을 때의 청사진을 제시한다면 민간 또한 활발히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글·사진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