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2017년을 말한다] 조경계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조경계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글_양병이 (사)한국조경학회 고문서울대 환경대학원 명예교수우리나라가 지난해에는 다사다난했으며 많은 국민들이 분노와 허망함 속에서 연말을 보냈다. 이에 더해 조경계..라펜트2017-01-11
[녹색시선] 조경진흥법 탄생기
조경진흥법 탄생기글_안승홍(한경대 조경학과 교수) 조경진흥법이 2015년 1월 6일 법률 제12988호로 제정되고 2016년 1월 7일 시행되었다. 이 법이 시행된 이후 1년에 2-3차례 기자로부터 문의전화를 받게 된..라펜트2018-03-02
[녹색시선] 조경 내부의 적들
조경 내부의 적들글_김영민(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조경의 내부에는 두 적이 있다. 강박증자와 냉소주의자이다. 강박증자들은 조경을 너무나도 사랑하는 자들로써 조경의 가치를 위해서라면 기꺼이 자신을..라펜트2019-12-08
시공간(space-time)의 ‘자연’과 시존재(time-being)의 ″..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07 자연(Nature) Ⅱ시공간(space-time)의 ‘자연’과 시존재(time-being)의 “자연”...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조경비..라펜트2017-06-30
[녹색시선] 일본 사도 따오기와 공생하는 사토야마
일본 사도 따오기와 공생하는 사토야마글_백승석 과장(한국농어촌공사)2017년 12월, FAO(국제식량농업기구)로부터 희소식이 들려왔다. 하동 전통차 농업시스템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소식이다. 우..라펜트2017-12-22
[녹색시선] 정원박람회 어땠어?
정원박람회 어땠어?글_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지난 몇 년 동안 자동차를 타고 유럽의 정원박람회를 구경할 좋은 기회가 있었다. 답사 중 인상 깊었던 행사는 1960년 네들란드 로테르담을 시작으로 Floria..라펜트2021-03-11
[녹색시선]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조경디자인을 강조한 ..
조경의 오늘을 만드신 분들(3):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조경디자인을 강조한헨리 허바드(Henry Vincent Hubbard)글_김수봉 교수(계명대 생태조경학전공)미국의 조경가이며 도시계획가인 헨리 허바드(Henry Vincent Hu..라펜트2017-11-07
[녹색시선] 정원박람회를 돌아본다
정원박람회를 돌아본다글_홍광표(동국대 조경학과 교수,(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회장우리나라에 정원 바람이 분 것은 2011년 첼시플라워쇼에서 황지해가 ‘해우소’라는 작품으로 골드메달을 수상하고, 2012년 ‘DMZ’..라펜트2018-05-22
[녹색시선] 공원 불요불급론(不要不急論)
공원 불요불급론(不要不急論)- 공원은 필요하지도 급하지도 않은가 -글_정태열(경북대학교 조경학과 부교수)내가 만약 공원이라면 유럽에서 태어나고 싶다. 왜냐하면 유럽의 공원에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다양한 ..라펜트2018-10-17
[녹색시선] 도시숲의 법제화 추진 과정을 바라보며
도시숲의 법제화 추진 과정을 바라보며글_진승범 대표(이우환경디자인(주))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이하 ‘도시숲법’)’이 국회 소관 상임위(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라펜트2019-12-18
[녹색시선] 인구 변화와 조경산업의 흐름
인구 변화와 조경산업의 흐름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28년  5194만명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서서..라펜트2019-03-31
[녹색시선] 우리는 봄을 맞을 자격이 있을까
우리는 봄을 맞을 자격이 있을까글_김수봉(계명대학교 생태조경학전공 교수)엘리엇(Thomas Stearns Eliot)은 그의 장편시 ‘황무지’의 앞 구절에서 이렇게 노래했다.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라펜트2019-04-18
[녹색시선] 기후변화시대 폭염 저감을 위한 조경의 역할
기후변화시대 폭염 저감을 위한 조경의 역할글_오충현(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생태계서비스연구소장)금년 여름 우리나라는 폭염이 맹위를 떨치고 있다. 기상 관측 이래 최고온도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 우..라펜트2018-08-23
이름만 큰 ‘도시’와 이야기 없는 ″장소″ - 2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10 장소 Ⅱ이름만 큰 ‘도시’와 이야기 없는 “장소”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조경비평가장소Ⅱ:  이름만 큰 ‘도시’와 ..라펜트2017-10-17
[녹색시선] 조선후기 화훼의 성행과 정원조영문화
조선후기 화훼의 성행과 정원조영문화글_신현돈(서안알앤디 디자인㈜ 대표)우리나라 조선후기, 그 중에서도 18·19세기는 매우 역동적인 시기였다. 이념 중심의 사고가 해체되고 실학이 유행하면서, 이 시기 지식인..라펜트2018-11-09
[녹색시선] 정원식물 그 이상의 가치, 자생식물
정원식물 그 이상의 가치, 자생식물글_남수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정원사업실장12월이다.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12월이 되면 어김없이 거리에는 트리와 오색의 전등들이 수를 놓고, 아이들이 있는 집이라면 크고 ..라펜트2021-12-02
[녹색시선] 탄소 중립성 전략에서 지켜야 할 4가지 원칙
탄소 중립성 전략에서 지켜야 할 4가지 원칙글_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국제기후사슬협의체(CCC) 스마트탄소중립도시위원장최근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러 곳에서 발생한 산불은 많은 양의 탄소를 방출하고 있..라펜트2021-08-11
[녹색시선] 중외합작판학을 소개합니다
중외합작판학(the Sino-foreign Co-operation in running Schools)을 소개합니다글_김수봉(계명대학교 공과대학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교수)필자는 2018년 12월 31일 현재 중국 하남성(河南省) 정주시(鄭州..라펜트2019-01-1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최근인재정보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