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식물섬이란 부도(浮島)라는 일본식 조어를 우리말로 표현한 것이다. 부도는 원래 자연상태에서도 존재하는 것으로 니탄층이 수면위로 떠오르거나 호반의 일부가 잘려 나가 호소 위를 표류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이 인공부도(人工浮島)로 부력이 큰 부체 또는 부유틀 위에 수생식물을 심어 물 위에 뜨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인공식물섬(Floating Island)은 상수원 호수, 다목적댐, 농업용 저수지, 골프장 연못, 생태공원 등 친수공간에 다양한 호소의 부영양화 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여 호소의 수질개선 및 영양염류의 저감효과를 극대화하므로 생물종의 다양화를 유도한다. -수생식물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 ·근계(root system)가 미생물의 매질로서 충실한 역할을 한다. ·근계가 입자성 물질을 전기적 혹은 기계적으로 흡착시켜 미생물에 먹이원 (N, P 등)을 제공한다. ·통기조직을 통한 근계로의 산소전달로미생물의 분해활동을 촉진, 질화 및 탈질을 유도한다. ·미생물의 분해산물인 영양염류 흡수 및 합성 유기물과 대사물질을 미생물에 제 공하여 중금속과 방사성물질을 흡수한다. ·산소 부족시 식물이 산소룰 공급하여 미생물의 완충기로 작용한다. ·잔사성 소비자에 서식처를 제공하므로서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한다. ※ 키워드:인공식물섬,신정호,경포호,천곡천,봉망지,가스미가우라 ※ 페이지;6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