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끼기의 비극적 도식
기억하는 이가 많지는 않을 것 같다. 1999년, 아크포럼(www.archforum)을 통해 진행되었고 책으로도 출판되었던 온라인 토론 “우리 시대의 조경 속으로”는 ‘말하기’에 익숙하지 않던 조경계에 적지 않은 흥미와 반향을 불러 일으켰었다. 당시 “베끼기의 비극적 도식―우리가 정말 조경했을까”라는 제목으로 올렸던 고백문이 있었음을 간신히 기억해냈다. 삼덕공원 현상설계 당선작(인터조경기술사사무소)이 런던 쥬빌리 가든(Jubilee Gardens) 현상설계 당선작(West8)의 모작이라는 이번 논란을 비평가적 입장보다는 우선 설계자의 시각에서 해석해 보고 싶었기 때문인 것 같다. 일부를 다시 옮긴다.
……우리나라 조경가들과 조경 동네 사람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책은 뭘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가장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책은 이른바 ‘그림책’ 또는 ‘사진책’이 아닐까요? 그(녀)는 문자보다는 이미지가 압도적인 책을 좋아합니다. 왜? 점잖게 말하자면, 명망 있는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비행기 값 안 들이고 간접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죠. 까놓고 말하자면, 베낄만한 작품들을 힘 안 들이고 검색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정말 최근에 홍수처럼 넘쳐나는 조경가들의 작품집이나 이런저런 작가들의 작품 선집들은 그(녀)에게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가끔 들어가 훔쳐보는 후배들 스튜디오의 한 풍경―침 안 묻히고도 잘 넘어가는 비싼 그림책들을 다리 꼬고 앉아 한 장 두 장 넘깁니다. 그러다 ‘으흠, 이거야’ 싶은 감이 들면 무지개색 포스트잍을 뜯어 척!하고 붙입니다. 포스트잍이 붙은 이미지들을 복습하며 잘 조합해 봅니다. 스스로 굿이라 자부하는 디자인이 나옵니다.
……대학원 첫 학기 때의 경험입니다. 다시 떠올려보니 정말 그 수치감이 생산해 내는 김이 새삼 무럭무럭 솟아나는군요. ○○○, △△△, 그리고 저, 이렇게 셋이서……설계 수업을 들었습니다.……교수님은 일주일에 100장의 스케치를 요구하셨습니다. 그러기를 몇 주일, 우리의 머리는 진공 상태를 경험합니다. 그러나 젠틀하시기로 이름난 교수님은 평소와는 다르게 별별 이유를 다 들어 No를 반복하십니다. ‘긴 하루 지나고 언덕 저편에 빨간 석양이 물들어갈’ 무렵, ‘놀던 아이들이 아무 걱정 없이 하나 둘 집으로 돌아갈’ 무렵, 저는 책꽂이에 자랑스럽게 꼽아 놓았던 기 만원 짜리 일본 작품집으로 눈길을 줍니다. 왜 진작 책의 도움을 못 받았던가?
포스트잇이 귀하던 때라 파지를 잘라 끼워가며 책을 넘기다 다시 거꾸로 넘기기를 몇 차례, 최종 결승에서 낙점 받은 한 일본 작품을 제 스케치북에 그대로 옮겨 그립니다. 물론 다음 날의 수업을 무사히 넘기기 위한 방편에 불과하다는 정도의 마음가짐으로…….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던 다음 날 오후, 교수님은 제 스케치북에 드디어 만족하십니다. “진작 이렇게 했어야지……. 그런데 땅과 만나는 부분의 디테일과 물 나오는 관의 사이즈가 좀 어색하지? 다른 작품들 좀 참고해 보자” 하시고는, 그러나, 제가 베꼈던 문제의 그 그림책을 펴드십니다. 등골이 오싹하다는 느낌을 그때 처음 경험합니다. 오랫동안 잊고 지내던 하나님을 간절히 찾습니다. 그러나 교수님의 눈과 손은 문제의 그 쪽에 고정되고 맙니다. 오, 마이 갓! 젠틀하고 노블하신 교수님은 한 3분간 말을 잇지 않으시더니 “어, 이 친구 좀 보게”라는 말을 남기고 나가십니다. ‘그 후로도 오랫동안’ 전 학교를 갈 수 없었습니다.……
베끼기의 조건과 토양은 진화를 거듭했다. 감당하기 힘들 만큼의 정보가 넘쳐나는 인터넷의 바다에서, 봇물을 이룬 상업적 ‘그림책’들의 향기 속에서, 어둠을 뚫고 프로젝트되는 교실의 파워포인트에서 우리는 베끼기의 유혹에 굴복하고 있다. 학교 스튜디오도, 설계사무소도, ‘갑’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일본 정원 흉내 내기를 겨우 극복하고 영국 풍경화식 정원과 옴스테디안 스타일을 추종하며 모사하던 한국 조경이 이제는 미국과 프랑스식 디자인을 넘어서 네덜란드의 스타 조경가와 스페인의 과격한 디자인까지도 기웃거린다. 벤치마킹!
모방@조경, 그 다양한 층과 결
‘베끼기’라는 단어가 다소 적대적으로, 공격적으로, 패배주의적으로 들릴 지도 모르겠다. 고상한 단어 ‘모방(imitation)’으로 바꿔보자. 모방도 물론 부정적인 뉘앙스를 강하게 지니고 있지만, 한 인간의 성장도 모방의 과정이며 특히 학습과 교육은 모방의 대표적 형태라는 차원에서 보자면 꼭 거부감을 가져야 할 개념은 아니다. 예술론(theory of art)의 양대 산맥 중 하나가 예술모방론(imitation theory of art)이라는 점은 미학의 기초 교과서만 들춰보아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오늘날의 재현(representation) 개념으로 이어진 미메시스(Mimesis)에 뿌리를 둔 예술모방론은 예술은 세계의, 객체의, 대상의 모방이라는 주장이라고 요약될 수 있다. 고전주의 미술이 종교적 이념이나 신화를 모방하고 재현한 것이라는 점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조경의 역사를, 아니 동시대 조경만을 조감해 보더라도 조경이라는 행위 속에서 매우 다양한 층과 결의 모방이 있어 왔다는 점을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조경에서 모방은 때로는 부정적인 양상을 보기이기도 하지만, 또 때로는 계승, 영향과 수용, 인용, 경향, 유행 정도로 용인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 폭넓은 스펙트럼을 잠시 짚어보자.
배정한
조경비평가, 단국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
(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