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오는 2024년까지 도심 6곳에 기후대응 도시숲을 조성한다. / 부산시 제공
다대포해변공원 등 부산 도심 6곳에 기후대응 도시숲이 조성된다.
부산시는 2050 탄소중립 도시를 실현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4년까지 도심 내 생활권과 도시 주변 지역 등에 ‘기후대응 도시숲’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기후대응 도시숲’은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산림청 국비보조사업으로 시행된 ‘미세먼지 차단숲’의 사업내용을 확대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시는 도심 내 대규모 숲을 조성해 산업단지 등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생활권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탄소흡수원을 조성하고 광장 및 도로 등 포장지역 주변에 숲을 조성해 도시열섬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감천항, 사상공단, 녹산공단 등 19곳에 23ha 규모의 미세먼지 차단숲을 조성했다. 올해부터 2024년까지는 해운대구 동해남부선 주요철도역, 사하구 다대포해변공원 등 6곳에 150억원을 투자해 15ha의 기후대응 도시숲을 조성한다.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 대상지는 ▲해운대구 동해남부선 주요 철도역(5곳) ▲사하구 다대포해변공원 ▲강서구 화전일반산업단지 ▲기장군 좌천역 폐선부지 ▲기장군 오시리아관광단지 일원 ▲기장군 일광이천 생태공원 등 6곳 15ha다.
최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ha의 도시숲(10년생)은 연간 평균 6.9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시숲이 미세먼지(PM10) 농도를 평균 25.6%,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평균 40.9%까지 저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한편 시는 지난 12일, 올해 사업비 50억원을 투입해 부산 시내 22곳에 총 2만9,000㎡ 면적의 도시숲을 조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시는 올해 도시숲 조성에 점·선·면·구조물 등 도시공간 형태별 다양한 녹화방안을 도입해 ▲녹색쉼터 ▲가로수조성 ▲화단녹지조성 ▲고가하부녹화 ▲옥상녹화 등 5개 유형으로 나눠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