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4대강 보 설치 이후 수생태계 건강성 악화돼″

어류는 5개 보, 저서동물은 10개 보, 부착돌말류는 4개 보에서 건강성 등급 떨어져
라펜트l기사입력2018-07-01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 수생태계 건강성이 보 설치 전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장관 김은경)와 국립환경과학원은 15개의 보가 설치된 4대강 수계 22곳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보 설치 전과 비교 평가한 결과, 건강성 평가 등급이 어류의 경우 5개 보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하 저서동물)은 10개 보에서, 부착돌말류는 4개 보에서 하락했다고 밝혔다.

평가 대상 4대강 15개 보는 한강 3개(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낙동강 7개(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금강 3개(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영산강 2개(승촌보, 죽산보)이다.
 
이번 비교 분석에서 보 공사기간인 2010년에서 2012년까지는 제외되었으며, 낙동강의 경우 칠곡보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조사를 지속한 곳이 없어 빠졌다.

환경부는 15개의 보 설치 전후 어류의 건강성을 비교한 결과 이포보, 낙단보, 강정고령보, 세종보, 공주보 등 5개의 보에서 건강성 등급이 하락했다고 전했다. 한강 2개, 낙동강 5개, 금강 1개, 영산강 2개 등 나머지 10개의 보는 건강성 등급이 같았다.

다슬기 등 저서동물은 한강 3개, 낙동강 4개, 금강 2개, 영산강 1개 등 10개의 보에서 등급이 하락했다. 달성보와 공주보에서 등급이 개선되었고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승촌보 3개의 보는 등급이 같았다.

< 15개 보의 보 설치 전(’08~’09년)・후(’13~’16년) 평균 건강성 등급 변화 >


보 설치 후 건강성이 가장 크게 하락한 보는 세종보이며, 어류는‘좋음 B’에서 ‘나쁨 D’ 등급으로, 저서동물은 ‘보통 C’에서 ‘매우 나쁨 E’ 등급으로 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15개의 보 설치 전후 어류의 평균 종수는 낙단보, 강정고령보, 합천창녕보를 제외한 나머지 12개 보에서 최소 1종에서 최대 9종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평균 개체수는 낙단보, 구미보, 승촌보를 제외하고 나머지 12개 보에서 최소 5.1%에서 최대 85.8%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 설치 후에는 달성보, 공주보, 승촌보, 죽산보 등에서 생태계교란종인 배스 또는 블루길이, 세종보에서는 정수성 어종인 모래무지가 우점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이포보에서는 보 설치 전 출현했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꾸구리가, 낙단보에서는 Ⅰ급 흰수마자가, 구미보에서는 흰수마자를 비롯해 Ⅱ급 백조어가 보 설치 이후 발견되지 않았다.

아울러, 15개의 보 설치 전후 저서동물의 종수와 개체밀도 모두 모든 보에서 감소했으며, 종수는 최소 2종에서 최대 24종, 개체밀도는 최소 18.6%에서 최대 97.7%까지 감소했다.

유수성 종수의 비율은 보 설치 전에도 유수성 종이 발견되지 않았던 합천창녕보를 제외하고 나머지 14개 보에서 모두 감소했다. 유수성 개체밀도의 비율은 합천창녕보와 창녕함안보를 제외하고 나머지 13개 보에서 최소 2.2%p에서 최대 68.6%p까지 감소했다.

15개의 보 설치 전후 부착돌말류의 개체밀도는 달성보, 세종보, 창녕함안보 등 8개 보에서 최소 2.6%에서 69.4%로 감소했으며, 나머지 7개 보에서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이 깨끗한 곳에서 주로 서식하는 땅콩돌말속 등 호청수성종의 개체밀도 비율은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구미보, 승촌보, 죽산보 등 6개 보에서 감소했다.

오염된 물에서도 주로 서식하는 호오탁성종의 개체밀도 비율은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상주보, 낙단보, 구미보, 승촌보 등 7개 보에서 증가했다. 강천보 21.3%p, 이포보 9.7%p 순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등침돌말속(Nitzschia palea)의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은 이번 비교 분석 결과가 각 보의 조사 지점 수가 1곳에서 최대 3곳으로 달라 4대강 보 설치 전후의 수생태계 변화를 정확하게 비교하는데는 한계가 있지만 전반적인 생태계 상태를 이해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진식 환경부 수생태보전과장은 “이번 조사 결과는 향후 4대강 재자연화에 참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재관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장은 “하천 수생태계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 앞으로도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조사(모니터링)를 실시하겠다”라고 말했다.
글_김지혜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kimj611@naver.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