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전문건설공사의 전체 수주액은 5조4,870억원으로 전달 대비 31.1%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 및 3년 동월비보다는 높았다.
지난달 주요 전문업종별 수주실적에서 ‘조경식재 및 조경시설물공사’의 수주액 전월비가 가장 큰 하락률을 보였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2월 전문건설공사의 전체 수주 규모는 5조4,870억원(전월비 –31.1%, 전년 동월비 +37.2%)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 및 최근 3년 동월비보다 높은 수준이다.
원도급공사의 수주액은 1조9,360억원(전월비 –21.1%, 전년 동월비 +101.2%), 하도급공사의 수주액은 3조5,520억원(전월비 –35.5%, 전년 동월비 +16.9%)으로 추정됐다.
전문건설공사 및 주요 전문업종별의 2022년 12월 수주실적(잠정) /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제공
주요 업종별로 살펴보면, 철근‧콘크리트공사(1조5,390억원, 19.7%)와 실내건축공사(7,580억원, 10.3%)만이 전월 대비 수주액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조경식재 및 조경시설물공사가 1,570억원(-28.5%)을 수주해, 전월비 가장 큰 하락률을 보였다. 이어 ▲토공사 5,440억원(-21.9%) ▲철강구조물공사 3,250억원(-13.5%) ▲습식‧방수공사 2,280억원(-2.6%)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 4,010억원(-0.3%) 등 순으로 전월비 하락률을 보였다.
조경식재 및 조경시설물공사의 2022년 월별 수주실적은 ▲1월 2,690억원 ▲2월 3,090억원 ▲3월 5,630억원 ▲4월 5,480억원 ▲5월 4,700억원 ▲6월 3,450억원 ▲7월 3,140억원 ▲8월 2,960억원 ▲9월 3,040억원 ▲10월 3,190억원 ▲11월 2,200억원 ▲12월 1,570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단위 : 십억원 /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제공
한편 2022년 12월 건설경기실사지수는 40.8로 전월(41.5)과 유사했으나 올 1월의 전망치(33.5)는 크게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공사수주 경기실사지수는 원도급수주는 42.4로 전월(51.1)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는 전년 동월보다 낮은 상황이다. 하도급수주도 37.2로 전월(47.2)과의 차이가 현격했으며, 역시 전년 동월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원도급 공사수주지수는 수도권(50.0→45.3)은 소폭 하락한 반면 지방(51.6→41.3)에서의 하락 정도가 큰 것으로 집계됐다. 하도급 공사수주지수는 수도권(52.1→49.1)은 전월과 일부 차이를 보였으나 지방(45.3→32.6)에서는 크게 악화됐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관계자는 “건설업체들이 높은 인건비와 자재비 등으로 공사 수익성의 악화를 우려했다”라며 “일부에서는 중국의 춘절로 인한 자재수급의 곤란함도 경영의 애로사항으로 지적했다. 지수도 이를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