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기온상승으로 한반도 전역에 걸쳐 난대 상록성 식물들의 생육지가 점차 확대된다는 미래 시나리오가 나왔다. 이들은 기존의 온대성 식물자원들과 심각하게 경쟁하게 될 예정이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이상팔)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제공하는 미래 기후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실시한 한반도 주요 난대 상록성 식물 3종의 분포 미래예측 연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온난화 현상이 지속될 경우 100년 후에는 한반도 전역에서 사계절 내내 푸른 잎이 달린 식물들을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이자 주요 난대 상록성 식물인 후박나무, 참식나무, 밥풀고사리를 대상으로 2012년부터 일본 산림총합연구소(FFPRI)와 2012년부터 공동으로 수행됐다.
후박나무(좌측 상단), 발풀고사리(좌측 하단), 참식나무(우측 하단)
난대 상록성 식물자원의 생육 적지와 생육 한계지를 통해 본 후박나무, 참식나무, 밥풀고사리의 잠재 생육지는 2050년께 이미 휴전선을 넘어 황해도 이북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된다.
2100년께에는 해안가를 따라 더욱 북상해 중국 국경지대에까지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미 경주, 대구, 나주지방 등 한반도 내륙지역까지 분포하는 송악, 마삭줄, 사스레피나무 등의 난대 상록성 식물은 100년 후 잠재 생육지가 북한지역 대부분까지 확대될 것으로 추정돼, 온난화 현상이 지속될 경우 100년 후 한반도 전역에서 난대 상록성 식물을 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특히, 온난화 등 지구 기온상승으로 한반도에서 난대 상록성 식물들의 생육지가 점차 확대될 경우 기존의 온대성 식물자원들과 심각하게 경쟁하게 될 것으로 예상됐다.
환경부는 “향후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피해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장기적인 미래예측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생물자원관은 2011년부터 기후변화가 한반도 생물종 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취약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해 종분포모델을 이용한 분포예측 및 감시체계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생물자원관은 일본 산림총합연구소와 사회적인 관심이 높고 기후변화 적응정책 마련이 시급한 생물자원을 중심으로 정보 공유 및 연구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