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 도시계획시설1. 도시계획의 체계 22. 도시계획시설의 정의 33. 도시계획시설의 종류 44. 도시계획시설의 필요성 55. 도시계획시설의 결정절차 7Chapter.2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1.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개념 및 제도 122.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발생원인 143.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문제점 164.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헌법 불합치 판결 175.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현황 20Chapter.3 장기미집행 도시공원1. 도시공원의 종류와 지정 242. 도시공원의 기능과 가치 263.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실효 제도 284.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발생원인 345.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문제점 366.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현황 397.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해제(일몰)시 문제점 44Chapter.4 도시자연공원구역 및 국가도시공원1. 도시자연공원구역 도입 482. 도시자연공원구역 현황 503. 도시(자연)공원과 도시자연공원구역 비교 534. 비오톱(biotop) 등급 지정 565. 장기미집행 도시공원과 국가도시공원 제도 59Chapter.5 도시공원의 민간조성 특례사업1. 특례사업 개념 및 도입과정 642. 도시공원 부지에서 개발행위 특례 내용 및 적용 683. 특례사업의 법적 성격 및 사업시행자 714. 특례사업 시행방식 및 시행절차 735. 특례사업 초기(제안)단계 추진절차 826. 특례사업 중기(협상 및 공원시설 인허가)단계 추진절차 937. 특례사업 후기(시행)단계 추진절차 107Chapter.6 도시공원 특례사업 시행사례1. 민간공원 특례사업 개념 1182. 의정부 직동공원 및 추동공원 1213. 수원 영흥공원 1244. 인천광역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민간공원 1265. 원주 중앙공원(1구역) 1286. 천안 노태공원 1307. 청주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1318. 광주광역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1339. 민간공원 특례사업 심층인터뷰 134Chapter.7 특례사업추진의 부진 및 제도개선1. 특례사업 부진사유 1462. 민간공원제도 법령 관련 제도개선 1523. 특례지침 관련 제도개선 1594. 민간공원제도 운영 관련 개선 1645. 민간공원제도 도시계획시설사업 시행방법 개선 173Chapter.8 도시공원 특례사업의 사회적합의1. 도시공원의 공공재 개념 1782. 공익과 사익의 조화 관계 1793. 도시공원의 사회적 합의(Social Consensus) 모색 186부록 1.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 가이드라인 / 191부록 2. 도시공원부지에서 개발행위 특례에 관한 지침 / 247참고문헌 / 260찾아보기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