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국내 건설주수 210.9조 전망…0.5% 감소

공공수주 0.4%↑ 민간수주 0.9%↓ 건설투자 1.8%↓ 예상
라펜트l기사입력2022-07-07

 

올해 국내 건설수주와 건설투자는 각각 0.5%, 1.8%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건설동향브리핑에 따르면, 건설수주는 지난 2020년에는 16.9% 증가한 194.1조원을 기록, 2021년에는 9.2% 증가한 212.0조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2022년에는 0.5% 하락한 210.9조원으로 지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이어진 증가세를 마감할 전망이다.

 

이는 상반기 건설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지만, 하반기에 3.7%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2022년 건설수주 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제공


연구원에 따르면, 상반기에는 정부 공사 발주가 증가하고 민간 부분도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정부의 지출 조정으로 공공 수주가 소폭 감소하고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민간 수주 또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공공 수주는 SOC 예산이 늘고, 대형 철도 공사 발주 영향으로 상반기에 증가했지만, 하반기에 정부 지출 구조 조정 및 비주택 건축 수주 위축으로 전년 대비 0.4% 증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공공 수주는 지난해 56.0조원으로 11년래 최대치를 기록했는데, 이러한 상승세는 올해에도 지속될 전망이나 하반기로 갈수록 성장률이 떨어질 전망이다.

 

공공 토목 수주는 정부 지출 구조조정 지방선거 이후 지자체 공사의 감소 자재비 상승으로 인한 공사비 재산정 등의 이유로, 하반기에는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공 비주거용 건축 수주는 생활형 SOC 투자의 감소로 하반기에는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한편, 지난해 LH 사태 영향으로 발주가 부진했던 공공 주택수주는 올해 일정 수준 발주가 정상화되면서 전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민간 수주의 경우 토목과 주택 수주는 증가하지만, 비주택 건축 수주가 부진한 영향으로 전년 대비 0.9% 하락할 전망이다.

 

민간 토목 수주의 경우 석유 및 에틸렌 가격 상승으로 국내에 관련 플랜트 수주가 늘어나고 민자수주가 일부 증가해 양호할 것으로 보인다.

 

주택은 상반기에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로 재개발·재건축 수주가 활발해 양호한 모습을 보였지만, 하반기에는 금리 상승 영향으로 회복세가 주춤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주택 건축 수주의 경우 지난 2020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신규 반도체 공장 수주가 어느 정도 정점을 지난 영향과 오피스텔 투자 감소로 작년보다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국내 건설투자 전망. / 2022년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전망치, 건설투자액은 2015년 연쇄가격 기준(한국은행 제공) 


한편 2022년 건설투자는 상반기의 부진으로 전년 대비 1.8% 감소해 지난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1분기 건설투자 디플레이터(건설 물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상승했다. 자재가격과 공사비용 급등으로 인한 분쟁과 파업의 증가로 상반기 4.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박철한 연구위원은 정책적 시사점으로 고물가로 인한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다만 급격한 금리 인상은 기업 연체율을 증가시키고 경기 위축을 가속화하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향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자재가 급등에 전방위적인 대응이 필요하고 동시에 인프라 투자 우선순위를 세워서 중요한 인프라에 우선적으로 재원이 투입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로 정부는 공사비 상승으로 인해서 단기적으로 주택 공급이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특별 관리가 필요하다. 두 번째로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관련 인프라 투자가 멈추지 않도록 살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지방정부 인프라 투자가 멈추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끝으로 박철한 연구위원은 한시적으로 중소 건설업체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 확대를 고려해야 한다건설사들은 건설투자 디플레이터 증가율이 5% 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 보수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치솟는 건가재값에 대한 대응에 나섰다. 건자재값 상승분을 공사비에 적기에 반영하도록 제도개선을 검토할 예정이다. 특히 공공부문에 대해서는 관급자재 공급을 안정화하고, 현행 물가변동 제도의 개선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글_주선영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rotei@naver.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