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경관엔 우리도시 정체성이 담겨야 한다

신경관 토론회 ‘타분야와 소통으로 조경 자리매김 필요’
라펜트l기사입력2010-11-22

 

“신경관에서 ()’이란 내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이란 뜻이담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새롭게 생겨나는 도시의 모습이 진정 우리가 말하는 도시의 정체성인가?’, ‘타 문화와 비견되는 우리의 경관인가?’라는 질문을 던져봐야 한다

 

지난 19() 신경관포럼을 통해 정욱주 교수(서울대)는 이같이 말하며, 현재 조성되고 있는 화려한 신도시의 모습이 진정한 신경관인가라는 본질적 의문을 던졌다.

박명권 그룹한 대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 대한 이해 즉, ‘전통이란 요소를 배제하고는 좋은 설계가 나올 수 없다고 답하며, “장소가 갖는 고유적인 삶을 이해했을 때만이 우리의 설계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진형 조경설계 서안 실장은 도시에서 만들어져야 하는 철학적 가치가 만들고자 하는 도시에 부합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난 동탄2신도시 워터프론트 프로젝트의 사례 리뷰를 통해 신경관이 지향해야 할 관점 등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이와함께 조경가가 프로젝트의 중심에서 건축 및 도시설계의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한 토론도 이어졌다.

 

오피스박김의 김정윤 대표는 동탄2신도시 같은 프로젝트에서 조경가가 주도하기 위해서는 토목 및 수리 등 타 분야의 엔지니어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타분야와의 워크숍 등의 선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정민 순천대 교수는 많은 토의가 좋은 결과물을 반영하지는 않듯 좋은 개념이 인정받는 결과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고 말하며, 개념과 결과물을 잘 끌어낼 수 있는 매체의 중요성을 주지시키기도 했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서는 설계지침에 반영된송방천 계획고의 높이를 지키지 않았음에도 1등작으로 선정된 『청림정현』(씨토포스)에 대한 논의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이에 최신현 씨토포스 대표는 『청림정현』에 그려진 송방천 계획고는 그 부지에 대한 장소성의 맥락으로 인해 부지의 자연을 지키고자 표현한 최선의 결과물이며 후회는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서재군 팀장(경기도시공사 동탄계획팀)은 설계지침으로 인해 『청림정현』이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었지만 주민이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근본적인 이유로 인해 『청림정현』작품에 대부분의 심사위원이 손을 들었다고 전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토의된 심사방법에 대해 그룹한 박명권 대표는 “6개월간 진행해 온 설계작품에 대해 심사에 걸리는 시간은 상당히 짧다고 말하며 본심사와 기술심사가 연계되어야 할 것과 설계자가 작품을 설명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는 점을 주지시켰다.

 

이진형 조경설계 서안 실장 또한 심사 후 설계사와 심사위원과의 네트워크가 이루어진다면 현재 실정에서 일어나는 오류들이 상당수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종합토론

좌장 _ 배정한 서울대교수 | 패널 _ 서재군 팀장(경기도시공사 동탄계획팀), 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 정욱주 교수(서울대), 주신하 교수(서울여대)


강진솔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kegj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