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시선] 이제는 우리 상황에 맞는 시스템으로
- 이제는 우리 상황에 맞는 시스템으로글_안영애(안스디자인 대표)사무실에서 창밖을 보니 참새가 죽은 털수염풀 열심히 뜯고는 그 작은 입으로 물고 날라 가기를 되풀이 한다. 까치 역시 죽은 잔가지를 물고 가기를..라펜트2019-05-12
- [녹색시선] 문화로의 정원을 위해...
- 문화로의 정원을 위해...글_남수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정원사업실장최근 정원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뜨겁다. 국가정원부터 개인정원, 그리고 생활공간의 정원을 위한 반려식물까지... 생각보다 훨씬 빠르게 수..라펜트2021-07-27
- [녹색시선] 사라진 나무들
- 사라진 나무들글_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1927년 만들어진 대구 수성못은 별로 관심을 받지 못했던 몽리구역이었지만, 1980년 전후로 포장마차촌으로 한 때 유명했었다. 모진 개발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19..라펜트2021-05-11
- [녹색시선] 누구도 아닌 우리의 에덴
- 누구도 아닌 우리의 에덴글_김수봉(계명대학교 공과대학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교수)영국 유학 중이던 1992년 리우환경회의가 열렸다. 그 회의에서 채택된 리우환경선언문은 원칙20에서 환경관리와 개발을 위한 ..라펜트2018-05-02
- [기고] 조경의 새로운 플랫폼, 조경직 공무원 채용
- 조경의 새로운 플랫폼, 조경직 공무원 채용- 조경직 공무원 채용계획과 관련하여 조경인에게 드리는 글 -글_이상석 (재)환경조경발전재단 이사장(사)한국조경학회 회장존경하는 조경인 여러분!아름다운 꽃이 ..라펜트2019-04-24
- [녹색시선] 도시재생 뉴딜 열차에 함께 타라
- 도시재생 뉴딜 열차에 함께 타라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우수나 개구리가 튀어나온다는 경칩이 우리의 삶에 제 철이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엊그제 봄비가 내렸다. 시..라펜트2018-03-29
- [녹색시선] 자연의 역습
- 자연의 역습글_김진수((사)인공지반녹화협회 부회장,㈜랜드아키생태조경 대표이사))코로나바이러스로 전세계가 들끓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포비아! 며칠 전 일이 있어 지하철을 탔는데 잠시 마스크를 벗고 ..라펜트2020-02-18
- 과생산의 사회와 “환경” 스트레스 - 2
-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12 환경 Ⅱ과생산의 사회와 “환경” 스트레스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조경비평가환경Ⅱ: 과생산의 사회와 ..라펜트2018-05-18
- [책 속으로] 아우라 상실의 시대
- 아우라 상실의 시대글_오정학 경기도시공사 과장(ohjhak@daum.net)서 명 : 기술적 복제가 가능한 시대의 예술작품저 자 : 발터 벤야민 (신우승 역)펴낸 곳 : 전기가오리(2..라펜트2019-01-16
- [녹색시선] 공동주택 조경관리의 새로운 시도
- 공동주택 조경관리의 새로운 시도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세계 최고 수준을 달리고 있다. 1980년, 1990년, 2000년, 2010년의 도시화율은 57%, 82%, 88%, 91%로, 주택 ..라펜트2018-09-30
- 모여 즐기는 “통합”, 창발적 협동인 “통합” - 2
-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14 통합(integration) Ⅱ모여 즐기는 “통합”, 창발적 협동인 “통합”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조경비평가통합Ⅱ: ..라펜트2018-08-17
- [녹색시선] 조경으로 여는 삶의 풍경
- 조경으로 여는 삶의 풍경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유엔 통계에 따르면 2050년까지 세계 인구가 90억 명을 넘어 서는데 그 중 70%가 도시에 거주할 것이라고 한다. 향후 20만명 도시가 1만 300개 이..라펜트2017-12-10
- [녹색시선] 은행나무라서 죄송합니다
- 은행나무라서 죄송합니다글_김동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언제부턴가 가을이 되면 불쌍한 존재, 공공의 적이 되어버린 은행나무는 인간들의 이기심에 의해 고초를 겪는다.암나무 뽑아내기·수종 교체·열매 털기,..라펜트2020-11-13
- [녹색시선] 조경 시공의 미래 발전 방향
- 조경 시공의 미래 발전 방향글_김호걸 청주대 조경도시계획전공 교수과거와 현재, 학문과 분야를 막론하고, 미래를 위한 발전 방향은 항상 논의가 필요한 주제일 것이다. 필자는 조경 시공 분야를 교육하고, ..라펜트2022-02-28
- [녹색시선] 한국조경협회 조경정책연구소가 가는 길
- 한국조경협회 조경정책연구소가 가는 길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지난 1월 22일 한국조경산업의 일꾼들이 모인 한국조경협회의 제20대 집행부가 임기를 시작했다. 1980년 6월 창립하여 건축과..라펜트2019-01-23
- [녹색시선] 앎과 실천, 지식과 교만
- 앎과 실천, 지식과 교만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어떤 시대, 어느 지역이든 지식인은 남다른 식견과 생각을 지닌 존재로 간주된다. 우리 사회에서도 무슨 문제가 터질 때마다 TV나 언론에는 이른바 ..라펜트2018-04-10
- 담지적 지향성의 ‘예술’과 먼저 가 있는 ″예술″ - 2
-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08 예술(Art) Ⅱ담지적 지향성의 ‘예술’과 먼저 가 있는 “예술”...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조경비평가예술Ⅱ:  ..라펜트2017-08-04
- [녹색시선] 지식 홍수 속에서 잘 배워서 잘 써먹기
- 지식 홍수 속에서 잘 배워서 잘 써먹기 글_성종상 교수(서울대 환경대학원)수년 전 좋아하는 한 시인을 모셔서 강연을 들은 적이 있다. ‘자연이 말하는 것을 받아쓰다’라는 제목이었는데 탁월한 감수성..라펜트2018-08-16
- 디자인파크개발
- 미주강화
- 아썸
- 꽃길
- 휴안
- (주)동림이엔씨
- (주)원앤티에스
- 로프캠프
- 윤토
- 가나안건설
- 에스에이건설
- 이맥스아쿠아

- CA조경기술사사무소
- 림인포테크
- 인포21c
- 샘디지텍
- 키즈몽코리아
- 상명대학교
- 예건
- 엘그린
- (주)대지개발
- 일진글로벌
- 브레인트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