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녹색시선] 생태복지를 위한 국토생태계 통합관리가 필..
생태복지를 위한 국토생태계 통합관리가 필요하다글_구본학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회장,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교수생태계 관리 정책의 큰 물줄기가 이미 바뀌고 있다. 생태자원 유형별 관리 목표에 따른 개별적..라펜트2017-07-13
[남미생태문화] 아마존 인디오 보라족 마을
Human Nature & Culture 남미생태문화 탐방기세상에 없는 경험, 우연히 발견한 즐거움 - 30아마존 인디오 보라족 마을글·사진_박미옥 오피니언리더나사렛대학교 교수아마존 한민족 원주민아마존 보..라펜트2017-07-13
[경관일기] 라인강의 기적을 선도한 물의 도시, 뒤셀도..
강호철 교수의 경관일기 독일&북유럽편,라인강의 기적을 선도한 물의 도시, 뒤셀도르프 - 2글·사진_강호철 오피니언리더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독일은 인구에 비하여 국토가 여유롭고 대부분이 평지..라펜트2017-07-12
[녹색시선] 미국조경의 설립자 앤드류 다우닝
조경의 오늘을 만드신 분들(1): 미국조경의 설립자 앤드류 다우닝(Andrew Jackson Downing)글_김수봉 교수(계명대 생태조경학전공)로렌스 할프린은 조경가과 건축가의 차이점을 다음과 같이 설파했다. “건축..라펜트2017-07-11
[기고]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계획), 서울로 7017 답사
언젠가 서울역 고가가 공원으로 재탄생한다는 소식을 들었고, 서울숲과 청계천에 이어 또 하나의 큰 화제를 만들겠구나!라며 기대했다. 고가 공원 조성 후 꼭 한번 방문하겠다고 다짐했던 기억이 난다. ..라펜트2017-07-09
[경관일기] 라인강의 기적을 선도한 물의 도시, 뒤셀도..
강호철 교수의 경관일기 독일&북유럽편,라인강의 기적을 선도한 물의 도시, 뒤셀도르프 - 1글·사진_강호철 오피니언리더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이곳은 최근에 정비된 곳이라 톡톡 튀는 매력적..라펜트2017-07-07
[녹색시선] 도시재생 뉴딜과 조경가의 몫
도시재생 뉴딜과 조경가의 몫글_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새정부 들어 도시재생 뉴딜이 늘 화제이다. 도시재생 뉴딜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에서 각각 추진되었거나 추진되고 ..라펜트2017-07-06
[남미생태문화] 아마존 밀림의 야생 나비공원, 동물농장
Human Nature & Culture 남미생태문화 탐방기세상에 없는 경험, 우연히 발견한 즐거움 - 29아마존 밀림의 야생 나비공원, 동물농장글·사진_박미옥 오피니언리더나사렛대학교 교수남미원주민의 일상..라펜트2017-07-06
[경관일기] 프랑크푸르트와 뒤셀도르프
강호철 교수의 경관일기 독일&북유럽편,프랑크푸르트와 뒤셀도르프글·사진_강호철 오피니언리더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저의 여름과 겨울 방학은 해외 답사로 정례화된지 이미 오래입니다. 그래서 필..라펜트2017-07-04
시공간(space-time)의 ‘자연’과 시존재(time-being)의 ″..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07 자연(Nature) Ⅱ시공간(space-time)의 ‘자연’과 시존재(time-being)의 “자연”...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조경비..라펜트2017-06-30
[환경복원정보] 생물다양성과 곤충
생물다양성과 곤충- 경제적 관점에서 본 곤충 생물다양성의 가치글_이강운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생물다양성은 약 40억 년 전에 최초의 생명체가 지구상에 출현한 이래 변이, 자연선택, 종 분화 등을 거쳐..라펜트2017-06-30
[남미생태문화] 아마존의 관문, 이키토스(Iquitos)
Human Nature & Culture 남미생태문화 탐방기세상에 없는 경험, 우연히 발견한 즐거움 - 28아마존의 관문, 이키토스(Iquitos)글·사진_박미옥 오피니언리더나사렛대학교 교수아마존 원주민 수상가옥..라펜트2017-06-29
[미래포럼] 조경인이 그려야 하는 미래
(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미래포럼‘조경인이 그리는 미래’ Series No.25조경인이 그려야 하는 미래김정윤 오피스박김 소장(재)환경조경나눔연구원 운영위원‘Landscape gardener’라는 명칭이 주는 한계가 답답했던 ..라펜트2017-06-27
[녹색시선] 생명경관 : 그들의 조경철학
생명경관 : 그들의 조경철학글_조세환(한양대 도시대학원 도시경관생태조경학과 교수                                  ..라펜트2017-06-25
시공간(space-time)의 ‘자연’과 시존재(time-being)의 ″..
"경공환장: 다시 보는 일상, 느껴 보는 도시"  Part 2: 07 자연(Nature) Ⅰ시공간(space-time)의 ‘자연’과 시존재(time-being)의 “자연”... 글_안명준 오피니언리더조경시공연구소 느티 대표│..라펜트2017-06-23
[경관일기] 큐슈의 원생림 - 完
강호철 교수의 경관일기 일본편,후쿠오카에서의 마지막 일정글·사진_강호철 오피니언리더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후쿠오카는 그동안 여러 차례 답사기회가 있었기에 마음이 편안합니다. 올 때 마다 빠지..라펜트2017-06-23
[녹색시선] 서울로7017 이야기
서울로7017 이야기글_주신하 교수(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학과)드디어 서울역 고가도로가 지난 5월에 열렸습니다. 이름도 새롭게 ‘서울로7017’로 개명하고 시민들을 만나게 된 것이지요. 서울역 고가도로는 20..라펜트2017-06-22
[생물노트] 냄새 나는 ‘쥐방울’ 먹고 태어난 ‘선녀’ 꼬..
생물학자 이강운의 ‘24절기 생물 노트’<12> 하지냄새 나는 ‘쥐방울’ 먹고 태어난 ‘선녀’ 꼬리명주나비한때 ‘나라 나비’로 거론된 우아한 나비, 쥐방울덩굴 베어내 덩달아 사라져먹성 좋은 애벌레, 돌아서면..라펜트2017-06-22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가장많이본 사진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