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13
식물원과 수목원의 설계와 유지관리를 위한 조경학의 역할
인간은 오래 전부터 식물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식물과의 오랜 관계를 통하여 자신의 ... 교수(본 원고는 요약문입니다.)
월간 환경과조경/20066월호
바람직한 식재공사를 위한 제언
서론우리나라에 근대적인 조경교육을 도입 한지도 어언 30년이 지났다. 지난 30 여 년 동안 우리나라의 조경분야는 나라의 산업발전에 부응하여 급...
계간 조경생태시공/20076월호
조경수목의 중요성과 수급현황
김용식 등, 2004). 이는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자생식물의 규모나 다양하고 발전하고 있는 조경학의 현실로 보아 매우 제한적인 이용에 머물러 ...
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0월호
우리나라 식물 생식질자원의 보전과 여미지식물원
최근의 보도에 의하면, 제주도 서귀포에 있는 여미지식물원이 미국계 회사에 곧 인수될 예정이라는 문제가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여미지식물원...
월간 환경과조경/199910월호
식물원 ; 영국의 식물원
교수였던 John Stevens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한 결과였으며, 그의 제자가 바로 종의 기원으로 유명한 Charles Darwin이다. 1831년에 이르러 15헥터 면적의 규...
월간 환경과조경/19967월호
식물원 ; 러시아의 식물원
- 모스크바 중앙 식물원1945년 4월에 설립되어 작년 7월에 설립 50주년 창립기념행사를 가진 모스크바 식물원은 식물원의 총면적 약 3백60헥터 중 2...
월간 환경과조경/19967월호
식물다양성보전과 지속적 개발(5) -서식처 복원과 관리-
모든 동식물의 군집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재반 교란현상 즉 산불, 가뭄 또는 지표의 침식에 의한 변화 등과 같은 자연적인 현상에 의해 영향을 ...
월간 환경과조경/19942월호
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적 개발
특정식물집단에 대한 주연부효과에 대한 이론은 도서생물지리학 이론의 생성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동물군집의 경우를 고려한 가운데 비롯되었...
월간 환경과조경/19941월호
식물다양성보전과 지속적 개발(3)/특정식물의 장외 및 현장보전
특정식물에 대한 보전전략을 수립하는 경우에 장외 및 현장보전 두가지 모두 다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중 어느 한...
월간 환경과조경/199312월호
식물다양성보전과 지속적 개발(2) - 특정식물의 보전전략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월간 환경과조경/1993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