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10건
- 나의 길 나의 직업 _ 설계 익히기와 가르치기
-
교수가 기획실에 있었으며 경원대 민경현 교수(작고)가 관리이사로 최상직에 있었다. 이 때는 고속도로건설, 관광지개발, 성역화사업 등으로 국...
월간 환경과조경/1999년5월호
- 한민족의 음양과 삼재사상이 남긴 부등변삼각의 공간문화
-
우리 한민족은 자연의 힘에 순응하면서 고유의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사상적으로는 4천3백여년전 천· 지·인의 삼재사상과 고대문화의 원류인 ...
월간 환경과조경/1998년11월호
- 동양문화의 시원을 이룬 한민족의 정원 _ 생물적 예술공간인 관자정의 조성배경과 의장기법
-
우리나라의 정원문화공간이 해외에 조성된 예는 많지 않으나 미국 독립2백주년 기념사업으로 정부에서 LA에 우정의 종각을 세우면서 시작되었으...
월간 환경과조경/1995년2월호
- IFLA ; 학술행사는 무엇을 얻었는가
-
민경현 교수의 기조연설과 10편의 논문이 발표되...교수의 기조연설과 10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학...교수의 기조연설과 12편의 논문이 학술분과 D는 ..
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호
- IFLA ; 오감을 통해서 본 한국 정원의 아름다움과 정신세계
-
교수의 사회로 전통문화와 조경 이란 주제를 놓고 토론을 벌였다. 민경헌 교수의 기조연설 내용을 들어본다. 한국의 정원은 숲과 돌 사이로 흐르...
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호
- ‘92 IFLA 한국총회 자문회의
-
민경현 교수(경희대학교), 손창구 교수(前 동국대학교), 안건용 교수(서울대학교), 안봉원 교수(경희대학교), 이헌수 고문(한국종합조경)과 조직위...
월간 환경과조경/1992년2월호
- 긴급좌담 ; 평양조경 현황을 진단한다. ; 전통성이 말살된 우상화 조경의 실체
-
민경현 - 사진을 보면서 느낀점은, 양식면에서는 서구적 정형식이 주가 되고, 약간의 자연식이 가미된 듯 합니다. 수종이 다양하지 못할 뿐 아니라...
월간 환경과조경/1991년3월호
- 새해의 다짐 ; 새해 조경인의 역할
-
중차대한 시기에 우리 조경인이 해야 할 새해의 역할은 첫째 우리의 전통정원문화를 발굴 정리하고 보존상태가 좋지 않은 사적지의 보수를 심중...
월간 환경과조경/1988년1월호
- 제23차 IFLA총회를 다녀와서
-
교수의 논문(서울의 한옥보존)이 발표되었다. 이...교수를 비롯하여 이론의 기타무라씨, 헝가리의 메쉐니교수 등 세계의 저명한 조경가와 접하는 ...
월간 환경과조경/1985년9월호
- 고려 문수원정원
-
고려초기에 있어서 역사, 사상, 종교, 풍토 등을 배경으로 하는 문수원정원은 이 자현의 종교적 유토피아라고 볼 수 있다. 문수정원은 치석을 주...
월간 환경과조경/1983년10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