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과조경가의개념

비공개l2004.03.05l1676
아쉽습니다. 글들을보면 년봉과 현실 모두가 안타깝습니다. 선배로서 연봉과 개념을 적어봅니다. 오해하지말고 특히 제발 불평하지마시기를 선배 조경가로서 당부합니다. 참고1) 연봉(회사마다 천차만별/2003년12월 조사내용임-다소차이있슴) <설계 엔지니어링 전문회사 기준> 대학 1년차 (군필,남): 1400-1700만원 2년차 : 1600-1800만원 4년차(대리초임):2300-2600 7년차(과장초임):2600-3000 *자격증없을시 70만원정도 가감(과장직급시는 차이없슴) <전문시공사> 1년차 : 1300-1500(공무일경우 낮을수있음) 4년차:1800-2300(현장체제시+금액) 과장 : 3000-3500(수당비포함) 참고2) 조경가의 개념 1. 급여 정말중요합니다. 그치만 너무연연하지 마세요, 그대가 지긋하게 노력한다면 대우는 년봉조정에서 상향가능합니다.글구 실력키우고 일정경력지나면 금전적 여유는 있습니다.그렇다고 대기업등과 비교치말고요, 안정적입니다. 2. 등록글들을 3-4시간 봅니다, 조경가의 요즘 입장을 이해하기위한 나름대로의 접근법이라고 이해하세요, 그치만 불평이 너무 많네요들 건전한 사고가 건전한 자기발전 아시리라 믿습니다. 3. 때론 전문회사 특히 시공사 사장님들의 낮은대우, 개인적 인신대우 등 안타깝습니다. 그치만 그분들의 IMF이후 치열한 수주경쟁, 대기업의 횡포, 건설업의 현실등 넘무 고생하십니다. 쬐끔만 이해하세요 4. 급여, 연봉 대우 적다고 비판만 하시지 말고, 정식건의한번 진정으로 해보세요, 이땐 무조건 일정시기 경력으로만 주장하지 마시고 그와더불어 본인이 처리할 수 있는 자신감과 받고자하는 일정금액과 처리역량을 밝혀보세요,글구 요즘 수주,수금에도 상당히 오픈적입니다. 이익이 발생하는지에도 관신갖고 접근하면 함부로 짤라 말하지 못할것 같습니다. 그래도안되면 말못할 사정(회사의 입장, 개인의 역량 이바지 결여) 5. 앞으로의 과제 1)설계,시공사의 무분별 설립(힘들면 회사설립이 해결이라는 인식으로인해 가격하락, 서로담합할 수있는 공동체 필요 2)힘들다는 인식을 공연히 하여 심지어 학교 재학생들조차 조경업계가면 야근, 낮은대우등으로 기피하는 것은 기성여러분들의 책임이라 보여지며, 나아가 인재확보 어려우므로 각자 자제하고, 자기보람을 찾든지, 2-3년 헌신해보고,상의해보고 아니면 업종변경하시는 것이 좋을터,-조경의 암적요소해결 3)설계시 복잡공정에 대한 설계비용 조정을 위한 조경가의 담합과 제도마련으로 질적, 근본 고질적 야근등의 해소 필요 4) 특히 야근은 회사나 본인을 위해서도 병폐 어떻게든 야근은 안하는 것이 서로간 좋을듯- 저가공종, 복합공정, 처리역량 부족등 쉽지않으니 어떤 목표를 갖고 끝낸다라는 책임감, 환경을 일궈가는 우리 기술자의 보람등으로 치부하고, 우리 후배들을 위해서 주어진 사명이라 위안하시고, 조경업의 현실문제 해결에 동참함이 좋을듯 5) 연봉상향조정 정말 힘들계 느껴져요-그치만 변하겟지여 15년전 보다 대가는 오히려 줄고, 생활향상은 높고, 따라가기 힘들지만 묵묵히 자신을 일궈가는 기술자가 더 많기에 오늘의 조경가들의 활로가 있다 봅니다. *** 두서없이 적은글 조금이라도 도움 되었으면합니다, 어디까지 나의 개인생각이란는 점 이해하시길 빌며 달라질 수 있는 내일을 위해 매진합시다.
참고URLl
키워드l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게시물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