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재플랜터 방수를 하는 이유를 알고 싶어요
비공개l2016.11.20l3784식재플랜터 내부(흙이 담기는 부분)에 방수처리가 되어있습니다.
왜 방수를 하는건가요~~?
비가오면 플랜터 내부든 외부든 다 젖는데 굳이 안쪽에 방수를 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그나마 모지란 지식으로 가능성을 생각해 봤는데~
1. 조적으로 만든 플랜터
: 젖은 흙이 항상 접해 있어서 벽돌 붙인 모르타르에 문제가 생겨 플랜터 내구성에 이상이 생긴다?
그리고 흙물이 조적의 미세틈을 통과해 외부벽으로 흘러나와 플랜터를 더럽게 만든다?
2. 구체 석재습식 플랜터
: 플랜터 내부의 물이 구체를 통과해 외부로 흘러나와 플랜터를 더럽게 만든다?
그리고 그 외부로 흘러나온 물이 석재를 붙인 모르타르에 영향을 줘 석재가 떨어진다?
또는 백화현상? (내부방수로 백화현상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는 소견..)
정말 저런 이유라면(이유일까요?)~~~~
3. 구체 석재건식 플랜터
: 이방식은 석재가 건식으로 구체와 떨어져 있으니~~~ 내부 물로 인한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데 말입니다..... 그러면 방수를 하지 않아도 된다~~가~~~된다는건데
정말정말 궁금합니다~~~
위에 적어논 개똥지식이 맞는거건지~~~
아니면 식재플랜터 내부벽에 방수를 하는 진정한 이유가 따로 있는걸까요~~
아시는 분 명쾌하게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