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휴먼시티디자인어워드’ 10개 최종 후보 선정

삶의 질 높이는 도시 디자인, 팬데믹 이후 지역 활성화 대안으로 떠올라
라펜트l기사입력2020-12-22
‘제2회 휴먼시티디자인어워드’ 10개 최종 후보가 선정됐다. 정원, 공원 등 이번에 공모된 작품의 특징은 인간과 자연환경의 조화를 실현하기 위해 지역 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한 프로젝트가 돋보였다.

서울시가 주최하고 서울디자인재단(대표이사 최경란)이 주관하는 휴먼시티디자인어워드는 미래 도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디자인 프로젝트(디자이너 또는 단체)에 수여하는 국제적인 상이다. 제2회를 맞아 팬데믹으로 어두워진 우리 일상을 새롭게 조명하자는 주제 아래 전 세계 31개국에서 99개 프로젝트를 출품했으며, 그 중 10개가 파이널리스트로 선정됐다.

이번 행사에는 총 31개 국가에서 99개 프로젝트가 접수됐다. 국내외 권위 있는 심사위원들이 3번의 심사회의를 거쳐 파이널리스트 10팀을 수상후보로 좁혔다. 이 중 시상식에서 발표할 대상 수상작 1건에게는 상금 1억원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2021년 2월(예정)에 온라인으로 열릴 계획이며 최종 대상은 시상식에서 발표한다. 부분 오프라인 행사 가능 시 파이널리스트에 선정된 각 국의 대사가 초빙되어 수상하고 각 국의 수상자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최경란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는 “코로나로 인해 서로를 마주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지금이야말로 참여와 협력을 통한 디자인으로 사람 중심의 도시다움을 회복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논의가 간절히 필요한 시점이며, 휴먼시티디자인어워드가 그러한 주제를 전 세계적으로 나눌 수 있는 논의의 장이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프랑스, 세네갈] 쓰레기 더미에 정원을 세운 ‘워터 파운텐 가든’(Water Fountain Garden)


도시화 되어 자연을 잃어가는 시카프 지역에 정원을 개설하고 원예를 배워가는 동시에 인간과 자연이 조화로우며 생물학적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해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디지털 기술과 과학을 생각하는 아프리카 이니셔티브에 관심을 가져오던 케르 티 오산은 예술과 개방형 기술이 결합된 커뮤니티 공간으로 워터 파운텐 가든을 조성했다.

플라스틱 폐기물로 비위생적이었던 세네갈 시캅 지역에, 전통적, 예술적, 창조적 관행에 대한 멀티미디어의 통합을 장려하고, 환경, 사회, 공공장소와 관련해 학문 간 교류를 지원하는 정원을 개발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주안점이었다.

예술, 기술, 도시생태, 경제, 근린생활이 어우러진 연구와 실험을 위한 공공의 학교에서 프로젝트는 시작됐다. 문화정책은 다양한 영역이 협력해 지역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분수정원을 통해 제시한다. 

심사위원 루 샤오보는 워터 파운텐 가든이 실용적이면서도, 비용부담이 낮은 기술 해결책을 사용해, 어린이들과 지역사회에 신선하고 생생한 경험을 가져왔다고 평했다.


[한국] 납골당을 죽은 자와 산 자가 서로 교통하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킨 ‘에덴 낙원 메모리얼’(Eden Paradise Memorial)


정원식 납골당으로 고인의 가족이 편안히 머무를 수 있는 호텔과 찻집 등이 있어 위로의 공간을 만든 프로젝트로, 납골당과 장례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했다.

iF DESIGN AWARD와 RedDot Design Award를 비롯한 다양한 공모전의 수상 경력이 있는 최시영은 한국의 전통적인 납골당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납골당은 죽은 사람이 사는 곳이다. 그러나 죽은 사람뿐만 아니라 산 사람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피 시설인 납골당을 새로운 시선으로 디자인해 정원을 중심으로 설계하고, 함께 이야기도 나누고 차도 마실 수 있는 위로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프로젝트의 중심 주제였다.

프로젝트는 죽기 전에 추억을 만드는 곳, 이야기가 전해지는 곳, 로맨스가 스며드는 곳, 그래서 방문하고 머물고 싶은 죽음을 인식하는 새로운 시선을 보여준다.

스테파노 미첼리는 독창적인 주제와 기념비에 대한 강렬하면서 새로운 비전이 돋보인다고 평했다.


[싱가포르] ‘슬로우 트래블'이라는 도시교통의 대안을 제공한 ‘푸저우 어반 커넥터’ (Fuzhou-Urban Connector)


산의 지형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최초의 고원형 산림 산책로 모듈 시스템을 개발해 자연유산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의 산림 녹지를 상당 부분 보존한 프로젝트.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자인 작업을 시도하는 룩분지 건축사무소의 룩분지는 혁신 시스템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고원형 산림 산책로를 만들어냈다.

중국 푸저우 내 자연유산에 대한 주민들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도시와 숲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도시연결망을 구현해내는 것이 프로젝트의 중심주제였다.

기복이 심한 산의 지형을 효율적으로 지날 수 있도록 6개의 데크 모듈과 스틸 격자를 활용한 총 길이 19km에 달하는 산책로는 자연을 파괴하는 기술이 아닌, 자연과 함께 사는 기술의 미래를 보여준다.

심사위원 루 샤오보는 좋은 기능, 아름다운 미학, 그리고 친환경적인 경관의 우아한 조합을 보여주었다고 평했다.


[콜롬비아] 도시를 통과하는 국도 인프라를 개선한 ‘메데인 리버 파크’(Medellin river park)


메데인 강 위에 보행자 다리와 식물 공원을 신규 조성해, 자연과 사람의 공유과 공생성을 추구한 프로젝트로, 시민들의 사회적 교류와 역동성을 촉진해 자연과 사람 그리고 사람들간의 관계의 회복의 장이 됐다.

LATITUD Taller de Arquitecturay ciudad의 공동 창업자 세바스챤 몬살베 고메즈와 후안 다비드 호요스 타보르다인는 도시 강가를 복구해 고속도로와 공공장소를 결합하는 메데인 리버 파크를 기획했다.

콜롬비아 메데인 강은 50년 전 운하 개발로 인해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어졌고, 버스와 자동차로만 양쪽을 오갈 수 있었다. 이러한 지역 단절을 해결하기 위해 보행자 전용 다리를 만드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었다.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 그리고 사람들 간의 관계의 회복을 인식할 수 있는 공공장소를 만들어낸 프로젝트는 사람 중심 디자인의 가치를 다시 한 번 확인해준다.

심사위원 김승회는 메데인이 도시디자인의 쇼케이스 도시로서 도시 디자인의 또 다른 좋은 예를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브라질] 빈민층을 위한 비즈니스 환경을 만든 ‘디자인 밋츠 더 코히, 파.벨라’ (Design Meets The Corre, Fa.vela)
브라질 최초 빈민가 기반 비즈니스 엑셀러레이터 사업으로, 저소득 지역사회의 사업체들을 위한 브랜드를 탄생시켜 지역을 활성화한 프로젝트.

PUC Minas 대학교 교수이자 브라질 제 13회 그래픽 디자인 비엔날레 큐레이터였던 구스타보 그레코 리시타는 저소득 커뮤니티의 기업가적, 기술적, 혁신적 생태계 조성한 프로젝트로 공모전에 참여했다.

빈민층 기반의 기업을 위한 시각적 아이덴티티 프로젝트 창출을 목표로 브랜드의 탄생과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주제였다.

브라질 최초의 빈민층 기반 비즈니스 엑셀러레이터인 파벨라는 사회 환경 및 경제적 영향에 초점을 맞춘 비즈니스 가속화 프로그램의 새로운 역할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운다.

심사위원 찰스 랜드리는 파벨라에 기반을 둔 실무교육이 디자인과 마케팅으로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됐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


[이탈리아] 버려진 공간을 전시 공간으로 탈바꾼 ‘카운트리스 시티즈’ (Countless Cities)


이태리 시칠리아 섬의 황폐한 시골마을 파바라를 열린 커뮤니티, 예술 중심지 공간으로 바꾼 비엔날레 프로젝트. 지역민, 예술가, 건축가 및 세계 도시들의 참여로 버려진 농촌 도시 전체를 활성화 시켜 국경과 언어, 문화의 경계를 넓히며 도시의 미래를 고찰하게 했다.

Curry Stone Design Prize 수상자인 안드레아 바르톨티와 그의 동료 프란체스코 리파리가 속한 그룹 ‘팜 컬쳐 파크’는 시골마을을 재생 시킨 ‘카운트리스 시티즈’를 진행했다.

전세계적으로 시골을 기피하는 현상이 증가하는 시기에, 안드레아 바르톨티와 프란체스코 리파리는 도시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대한 대답으로 카운트리스 시티즈(Countless Cities)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의 시골 마을 파바라 중심부에 위치한 낡고 반쯤 버려진 집을 현대 미술 전시 및 커뮤니티 공간으로 재창조한 이 프로젝트는 우리 삶에서 도시를 스스로 개선시켜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심사위원 찰스 랜드리는 카운트리스 시티즈가 예술적으로 영감을 받은 재생을 통해 마을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은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



[인도네시아] 비행기 교차로 바로 옆 슬럼을 일으킨 ‘에어본 닷 반둥’(Airborne.bdg)


비행장 옆 슬럼 지역 ‘링가와스’ 주민의 복지향상과 사회적 소속감, 창의성 증진을 위한 옥상 벽화 프로젝트. 옥상벽화를 통해 공동체 문화와 도시 환경을 개선하는 역할을 했다.

소외된 지역과 지역의 아이들에 대한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해온 반둥창의도시포럼(BCCF)의 티타 라라사티는 지역민 주도로 복지를 향상 시키는 에어본 닷 반둥을 진행했다.

인도네시아 반둥 도시 밀집지역에 사는 저소득층 주민들의 복지향상을 위해, 디자인, 창의성, 공원 녹지, 하천, 공공예술, 집합적 도시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향식 시범사업을 시행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주된 이슈였다.

반둥 브랜드인 “.bdg”를 최종결과물로 보여주기 위해, 지역민들과 디자이너들이 협력해 150여 개의 다양한 조건의 옥상들을 칠하는 작업을 해내었다. 이를 통해 지역민들이 연대하기 시작하고 마을 환경 개선에 인식이 높아졌다. 

심사위원 스테파노 미첼리는 에어본 닷 반둥이 폐기물의 재사용을 기반으로 한 상향식 설계. 지역 브랜드와 사회적 정당성을 홍보했다고 평했다.


[일본] 경계 없는 커뮤니티 만드는 홀타운 ‘세카이 호텔’(Sekai Hotel)


폐가를 호텔 방으로 개조하고 지역 상점과 협업해 리노베이션해, Whole-Town-호텔을 통해 손님들이 지역 공동체 문화와 평범한 현지 생활을 체험할 수 있게 한 프로젝트.

Ukujira Ltd 설립자인 야노 코이치는 오버투어리즘에 맞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한 프로젝트로 공모전에 참가했다.

폐가를 호텔 방으로 개조하고 지역 상점과 협업해 경관을 재설계하고 지속가능한 홀타운-호텔을 조성함으로써, 현재 일본이 처한 인구유출과 사회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기획된 타운 디자이닝 프로젝트이다.  

세카이 호텔은 지역의 사업체들과 연결해주는 세카이 패스 ‘SEKAI PASS’를 개발해 경계 없는 문화 관광지를 만들고, 지역 경제 또한 활성화 시켰다. 

심사위원 김승회는: 폐가, 관광객, 커뮤니티 등 다양한 이슈를 다루는 아주 영리한 작은 프로젝트라고 세카이 호텔을 평했다. 


[태국] 사람과 코끼리가 다시 공존하는 관광자원을 만든 ‘엘리펀트 월드’(Elephant World)


카이족들과 코끼리의 특별한 관계와 삶이, 마을에 코끼리를 위한 시설과 문화적 관광 명소가 만들어지고 일자리가 창출되면서 다시 함께 공존하며 살 수 있는 장소가 됐다.

2015년부터 엘리펀트 월드 프로젝트에 집중하고 있던 분섬 프렘타다는 5년 동안 실행한 작업의 결과물을 공모전에 내보였다. 

급격한 경제 성장과 무분별한 삼림 파괴로 인해 고향을 잃고 방랑해야 했던 태국의 카이족과 코끼리가 돌아와 되살 수 있는 터전을 만들고자 한 것이 프로젝트의 출발점이었다.

수세기 동안 이어져온 코끼리와 카이족의 관계가 끊어지지 않도록 코끼리를 주제로 한 관광 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을 구축한 이 프로젝트는 자연을 해치지 않는 관광 산업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심사위원 루 샤오보는 우리가 어떻게 지구상의 다른 종들과 동등하게 머무를 수 있는가 하는, 인간의 윤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여주는 프로젝트라고 평했다.


[브라질] 제품으로 지역 경제에 숨을 불어넣은 ‘스루루 다 문다우’(Sururu Da Mundaú)



수루루 홍합 채취를 주업으로 삼는 빈민 지역 버들 공동체를 위해, 버려지는 껍질을 재활용 재료로 활용하고 타일 제품을 개발해 새로운 소득 기회를 창출한 프로젝트.

Centro Universitário Belas Arts 건축학과 명예 교수 마르셀로 로젠바움는 빈곤한 마을의 수익 구조를 환경적으로 다각화하는 작업을 했다.

브라질 마세이오에 위치한 베르겔 마을의 유일한 사업 수단은 홍합 채취이다. 그러나 쓰레기 처리에 드는 비용 부담과 공중위생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키는 폐기물 때문에 마을은 고통 받고 있다. 한 달에 300톤 가까이 홍합 처분장에서 버려지는 홍합껍질로 타일을 제작해 보다 친환경적인 수입원을 창출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표였다.

환경개선과 동시에 수익창출을 이뤄내는 순환형 경제를 설계해 빈곤한 베르겔 마을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는 지역 사회를 이끄는 선한 경제 수단의 중요성을 되짚게 한다.

심사위원 아냐 시로타는 경제적 지속가능성 문제를 생태학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을 높이 샀다고 말했다.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게시물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