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전통생태 세미나 소개합니다
비공개l2003.04.27l1368
제4회-우리나라 전통 생태 세미나
“생태학은 옛 사람의 삶 안에 있었다
우리나라 옛 경관 속에 나타나는 생태철학과 개념”
안녕하세요? 소박한 봄꽃들의 여백을 채우듯 초록이 생기 있게 번져가는 계절입니다. 서울대학교 전통생태에 관한 연구도 어느덧 2년을 채우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의 지원으로 여섯 분의 연사를 모시고 귀한 말씀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을 이 자리에 초대하오니 부디 오셔서 좋은 모임을 가꾸어주시기 바랍니다.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이도원
일시: 2003년 5월 2일 (금요일) 오후 14:00-18:30
장소: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82동) 103호
주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후원: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일정
14:00 - 14:05 <인사말> --------------------- 이도원(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1 부 >
14:05 - 14:40 그림으로 살펴보는 생태도시 한양과 일본의 에도
--- 변우일(LEED환경연구원 원장,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겸임교수)
14:40 - 15:15 한국의 전통마을(생태적 예술공간)에서 본 환경설계원칙
---- 신상섭(우석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15:15 - 15:50 조선시대 경상도 읍치경관의 이해
--- 최원석(경상대학교 사회과학원 연구교수)
15:50 -16:05 ---- ꂀ-- 중간 휴식(15분)- ꂀ-ꂀ--
< 2 부 >
16:05 - 16:40 한국 전통마을의 환경친화성
--- 한필원(한남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16:40 - 17:15 지속가능한 우리 마을
--- 이규인(아주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17:15 - 17:50 한국전통정원의 생태적 특질 - 생태 코드로 고산 윤선도 원림 읽기
---- 성종상(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교수)
☮ 폐회
- 전통생태 세미나 소개합니다
비공개l2003.05.06이 강의 들으면 머리속에 얼마나 남을까요? 교수님들 가진 파워포인트 자료도 정말 빈약하고..말빨도 빈약하고.. 어쩌면 시간이 아까울수도 있습니다. 원론적인 교육도 필요하지만... 우리 조경인들에게 실제적인 현장적용가능한 그런 특강은 없을까요? 그런게 있음 참...좋을텐데...쯪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