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조경을 할때, 나무의 이유

비공개l2009.01.15l1836
조경을 할때, 여러가지 나무를 심잖아요- 그런데, 어느 건물앞에는 소나무가 심어져 있고, 가로수는 플라타너스이고, 어떤길은 벚나무가 심어져있고, 그런것이 조경설계할때 의미가 담겨져 있나요? 예를들어, 이 장소는 이러이러 하니까 이 나무가 심어져있다. 그런거요
참고URLl
키워드l
  •  조경을 할때, 나무의 이유
    비공개l2009.01.16
    소나무는 대부분 대학교나 기업앞에 많이 심고 소나무는 앞으로 뻗어나가는 기상 이런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요즘은 랜드마크로 아파트 앞에 심기도 합니다. 벚나무는 아름다운 꽃 때문에 많이 심는데 과거에는 꺼리던 품종 이었지만 삶의 질이 풍족해지면서 사람들이 아름다운 수종을 원해서 많이 심고는 있지만 객관적으로 볼때 아직도 많이 심겨져 있지는 않습니다. 봄이되면 항상 벚나무 축제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도시에서 자연을 접할 수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조경설계에서는 계절별로 꽃피는 수종을 달리하여야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봄을 대표하는 벚나무를 많이 심는 것입니다. 앞으로 더욱더 수종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나무 입니다. 등나무는 파골라주변에 심어서 파고라를 타고 나무가 올라가 수 있도록 심어야 합니다. 물론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파고라와 같이 심는 것입니다. 플라타너스는 대표적인 가로수 입니다. 플라타너스가 가로수로 심겨지는 이유는 공해에 강한 수종이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가로수도 플라타너스 말고 여러가지 수종을 심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은행나무도 역시 가로수로 많이 심겨집니다. 은행나무 역시 공해에 강한 수종이지만, 꽃가루나 냄새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조경을 할때, 나무의 이유
    비공개l2009.01.16
    조경설계나 시공을 할 때 어떤 수목을 사용하는가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과거 (뭐~ 요즘도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조경은 '나무심기' 다 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이 있지요. 또한 조경이 우리나라에 첫번째 발을 들여놓을 때 아무래도 임학이나 원예 등 농학을 전공하신 분들이 많았기에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조경교육 프로그램이나 외국에서 디자인을 전공하신 분들의 말을 들어보면 조경이 꼭 나무심기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당연히...) 대지가 가지고 있는 잠재가치를 높히는 일, 물론 그러면서도 이용자들의 편리함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과정.. 정도가 되겠지요. 개인적으로는 .. 아쉽게도 아직 조경을 나무심기만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이 있기에, 아무래도 수목에 대한 문제는 조경의 중요한 소재임이 분명합니다. 최근, 설계사무소나 시공회사분들 중 아직 어린(?) 분들이 수목의 생리라든가,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관성적으로 일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 아쉽습니다. 다음은 제 개인적인 생각도 많으니까. 참조하세요. 소나무 (특히 강원도소나무, 조형소나무 등)를 많이 심는 것은 아마도 1) 소나무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목이다 사군자 (매,난,국,죽)는 아니지만 소나무는 추사의 세한도에서 보듯이 절개를 상징하고.. 등등 그런 영향이 크고, 실제로 도심지에 이렇게 큰규격의 소나무를 심는일은 최근의 일입니다. (10여년 전부터...) 2) 강남의 타워 *** 등 랜드마크성 고급단지에 대형소나무를 심는일이 많아 지면서 일반인들은 소나무가 고급수종이라는 이미지가 강합니다. 3) 겨울철 대표적인 상록수 중에서 소나무만한 것이 아직 없습니다. 아쉽게도 수목 소재개발이 필요하지요... 4) 그리고 소나무가 제일 비싼 수목인 것은 사실입니다. 가로수로 심는 버즘나무(플라타너스)는 당연히 전통적인 가로소 입니다. 1) 매연에 강한(공해에 강한)수목으로 널리 알려져있습니다. 2) 강한 전정에도 매해 잘 자랍니다. 3) 제가 고등학교 때 국에책에 버즘나무가 나왔더랬습니다. 외국에 가니까 (상해..였던걸로) 가로수로 많이 심어져있다. 4) 실제로 상해에 가로수로 쓰고 있는 플라타너스는 관리가 아주 잘되어 있어 보기가 좋습니다. 5) 우리나라에서도 청주 진입부에 유명한 수목 터널이 있지요? 느티나무.. 1) 아마 시골이 고향인 분들은 고향마을 어귀에 느티나무 고목을 떠 올리실 것입니다. 2) 여름철 나무그늘.. 뭐 그런 이미지 강하지요? 단풍나무 1) 우리나라 단풍.. 아름답지요 그러면 당연히 가을에는 단풍나무.. 떠올리게 됩니다. 전라남도 쪽으로 가니까 소철을 가로수로 심어놓은 곳도 있고, 메타세콰이어 가로수 길도 있습니다. 왜 그걸 심었냐고 물어 본다면? 글쎄요. 답은 모르지만 작작의 의도... ??? 조경설계나 시공에 종사하시는 분들 ..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의 손끝에서 우리나라의 외부경관이 결정되는 일 이 많습니다. 좀더 고민하고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그저 선배님들의 하시던일 답습하지 마시고.. 결론.. (서론이 너무길었습니다) 조경에서 수목은 하나의 재료입니다. 당연히 중요한 재료.. 그재료의 특성, 생리 등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 가로수를 느티나무를 심든 , 이팝나무를 심든, 플라타너스를 심등... 그건 본인이 결정해야 겠지만, 주변의 환경, 조건들을 명확히 파악하시고.. 여기에는 그늘이 필요해 그래서 느티나무가 좋을 것 같다. 건물이 적색벽돌로 되어 있는데 그걸 배경으로 여기에는 수피가 흰 자작나무 군식이 어떨까.. 등등 많은 고민이 .. 필요하지요.. 그게 이유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질문하기
질문하기

가장많이본게시물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